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르헨티나 페소 가치 폭락 진정세…IMF와 내주 회의

아르헨티나 금융시장이 이틀간 이어진 패닉 상태에서 벗어나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31일(현지시간) 오전 아르헨티나 페소화는 달러당 전날보다 3.48% 떨어진 37.8페소에 거래됐습니다. 환율이 하락하면 통화가치가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페소 환율 진정은 중앙은행이 이날도 보유 중인 6억7천500만 달러(7천543억 원)를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나타났습니다.

현지 증권사인 코레도레스 데 캄비오에서 거래 담당 업무를 맡은 구스타보 퀸타나는 "페소가 중앙은행의 조치 덕에 회복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에 말했습니다.

페소화 환율은 전날 13.12% 오른 달러당 39.25페소로 마감해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환율은 장중 한때 달러당 42페소까지 가기도 했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들어 매일 5억 달러(5천587억 원)를 경매에 부치는 등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막으려고 시장 개입을 해왔습니다.

전날에는 자국의 페소화 가치가 급락세를 멈추지 않자 기준금리를 종전의 45%에서 세계 최고 수준인 60%로 전격 인상했습니다.

이달 들어 전날까지 페소화 가치는 달러 대비 30% 이상 빠졌습니다.

하락분의 3분의 2가량은 지난 29일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이 국제통화기금(IMF)에 500억 달러(55조5천800억 원) 중 선지급된 150억 달러(16조7천625억 원)를 제외한 구제금융을 조기에 집행해달라는 요청을 한 후 이틀간 발생했습니다.

투자자들이 이 요청을 아르헨티나가 내년 재정적자에 대처하기 위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신호로 해석한 것입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다음 달 3일 내년 재정적자를 더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긴축정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르헨티나가 지난 6월 IMF와 구제금융 지원에 합의하면서 내년도 재정적자 수준을 국내총생산(GDP)의 1.3%로 제시했는데, 이보다 더 낮은 목표치를 제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강화된 긴축정책은 국민의 반발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크리 정권은 취임 후 경제 침체 속에 물가가 대폭 올랐는데도 난방비와 수도 등 각종 생활 보조금을 대폭 삭감하자 많은 서민이 반발해왔습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 자문사는 보고서에서 "정부가 설득력 있는 긴축정책을 이행하지 못한다면 페소 가치가 더 떨어져 추가 금리 인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IMF는 아르헨티나가 현재의 금융위기를 넘길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습니다.

게리 라이스 IMF 수석 대변인은 성명을 내 "우리는 아르헨티나 당국과 최근 시장 진전상황을 고려한 자금 지원방안을 강화하려고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아르헨티나 당국의 강력한 헌신과 결단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와 니콜라스 두호브네 아르헨티나 재무부 장관이 다음 달 4일 만나 대화를 진전시킬 것"이라며 "우리의 목표는 조속히 대화의 결론을 낸 뒤 수정된 계획안을 이사회에 제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