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5세 이상 고령 인구 14.2% 차지…이미 '고령사회'

<앵커>

국민연금 재정을 불안하게 하는 가장 큰 문제는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 문제입니다. 어제(27일) 발표된 지난해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서도 그 심각성이 확인됐습니다. 65살 이상의 고령 인구가 결국 14%를 넘어서 일본보다 7년 빨리 고령사회가 돼버린 겁니다.

유덕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는 5천142만 명,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4.2%인 711만 5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합니다.

한국은 2000년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 뒤 17년 만에 고령 사회가 된 겁니다.

[양동희 과장/통계청 인구총조사과 : (우리나라는) 17년 만에 14%를 넘어섰습니다. 일본은 1970년에서 1994년까지 약 24년이 소요됐습니다.]

반면 일할 인구는 줄어들었습니다. 15세부터 64세까지인 생산 연령 인구가 사상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2016년 이후 1년 새 11만 6천 명이 감소해 3천619만 6천 명으로 줄었습니다.

지난 2016년 처음 65세 이상 고령 인구에 추월당했던 0세부터 14세까지인 유소년 인구는 1년 새 14만 명이 더 줄어들어 663만여 명, 전체의 13.3%에 그쳤습니다.

유례없이 빨리 진행되는 고령화에다 심각한 저출생으로 생산인구 감소가 겹치면서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