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규제해도 집값 떨어지지 않을 것" 심리 크게 작용

<앵커>

이렇게 잇따라 발표되는 정부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이 멈추지 않는 건 정부의 기대와 시장의 반응이 반대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아무리 규제를 해도 집값은 떨어지지 않을 거란 믿음이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는 거죠. 또 한 가지, 강남이 아니라도 서울에 똘똘한 집 한 채는 마련해야겠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규제가 강해질수록 집값은 더 뛰고 있습니다.

이강 기자가 시장 분위기를 취재했습니다.

<기자>

직장인 신 모 씨. 자녀 교육 문제와 출퇴근을 감안해 서울 강북 지역 아파트를 사려고 최근 공인중개사를 돌아다니다 허탈감에 빠졌습니다.

[신 모 씨/서울 종로구 : 기존에 있던 물건들은 부동산에 물어보면 다 거둬들였다고 하거나, 10년 동안 올랐던 금액보다 최근 한 달에 올랐던 금액이 더 높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지역을 따지지 않고 이런 '집사기 행렬'이 이어지는 이유는, 우선 집값은 절대 떨어지지 않을 거라는 심리가 크게 작용합니다.

또 비강남이나 수도권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정부의 집중 규제에서 빗겨나 있다는 인식도 한몫합니다.

[박 모 씨/서울 마포구 : 이쪽(비강남권)은 규제가 안 들어온다 이걸 제일 많이 강조하고요. (더 오르면) 서울에서 아파트를 구매할 수가 없게 돼서, 지금 사야 되는데(라고) 조바심이 좀 나게 되더라고요.]

여기에 과거 강력한 부동산 규제책을 쏟아냈던 노무현 정부 당시 오히려 집값이 급등했었던 '학습 효과'도 작용한다는 분석입니다.

[주 모 씨/서울 성북구 : (노무현 정부) 당시에 올랐던 게 저 역시 기억에 남아서 정부에서 누르려고 해도 떨어지지 않을거다라는 막연한 우려와 걱정이 있고… 늦기 전에 빨리 사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죠.]

올해 서울 비강남권의 집값이 10.77% 오른 반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집값은 0.03% 떨어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