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50세 이상 구직자를 특정 직무에 채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지원 대상이 대폭 확대됩니다.
고용노동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신중년 일자리 확충 방안'을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5차 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했습니다.
신중년은 50세를 전후로 퇴직해 재취업 등을 하며 노동시장 은퇴를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로, '5060 세대'라고도 불립니다.
작년 기준으로 1천378만명으로, 생산가능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합니다.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은 올해 1월부터 시행 중인 사업으로, 50세 이상 구직자를 신중년 적합직무에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인당 월 80만원, 중견기업에는 월 40만원을 1년간 지원합니다.
노동부는 "현장 수요를 고려해 금년 지원 규모를 2천명에서 3천명으로 늘리고 내년에는 5천명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내년에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으로 소요될 예산은 274억원으로 노동부는 추산하고 있습니다.
노동부는 경영·진단 전문가, 안전관리 컨설턴트 등 기존 55개였던 지원 대상 신중년 적합직무에 박물관 해설사, 출판 전문가 등 29개를 추가했습니다.
신중년이 지역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신중년 경력 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 사업'도 신설했습니다.
금융권 퇴직자가 지역평생교육센터에서 노후재무설계 교육을 하는 것과 같이 신중년이 지역서비스를 하게 하는 것으로, 내년 지원 대상은 2천500명이고 소요되는 예산은 80억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