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식 집계' 조현병 환자 10만 8천 명…"실제 50만 명 추정"

'공식 집계' 조현병 환자 10만 8천 명…"실제 50만 명 추정"
국내에서 조현병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가 약 10만 명으로 공식 집계됐습니다.

다만 조현병 유병률이 '인구의 1%'라는 점을 참작하면 실제 국내에는 약 50만 명의 환자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조현병(질병코드 F20)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2년 10만 1천 명에서 2017년 10만 8천 명으로 최근 5년 간 약 7%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실제 환자가 늘었다기보다는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하면서 병원을 찾는 환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조현병 유병률을 고려해봐도 현재 집계된 환자는 현실과 다르다고 봤습니다.

이정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조현병 유병률은 지리, 문화적 차이와 관계없이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1% 정도로 일정하게 나타난다"며 "이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약 50만 명 정도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조현병 환자가 소폭 늘어났지만 유병률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숫자로, 이는 의료기관에서 치료받는 환자가 늘어난 것으로 해석하는 게 합당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작년 조현병 진료 인원을 성별로 보면 남성 환자는 5만 명, 여성은 5만 8천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40대(2만8천694명, 26.7%)가 가장 많았고, 50대(2만3천66명, 21.4%), 30대(2만589명, 19.1%) 순이었습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 40대 환자의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남성은 40대(1만4천801명, 26.7%), 50대(9천745명, 21.4%), 30대(1만430명, 19.1%) 순이었고, 여성은 40대(1만3천893명, 29.5%), 30대(1만159명, 20.8%), 50대(1만3천321명, 19.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조현병은 망상, 환청,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정신적 질환을 말합니다.

과거에는 '정신분열증'으로 불렸습니다.

조현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됐습니다.

조현병은 사회적 인식과 달리 조기에 진단해 치료를 받으면 별다른 장애 없이 사회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적기를 놓치거나 임의로 치료를 중단할 경우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