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애등급 내년 7월 사라진다…중증·경증으로만 구분

장애등급 내년 7월 사라진다…중증·경증으로만 구분
내년 7월부터 장애등급제가 폐지되고 장애인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과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아니한 장애인'으로 구분됩니다.

보건복지부 개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7월 장애등급제를 없애고, 등록 장애인을 장애 정도에 따라 종전 1에서 3급 사이를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종전 4에서 6급까지를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아니한 장애인'으로 구분합니다.

지금까지는 의학적 상태에 따라 1급부터 6급까지 등급을 부여하고, 이를 각종 서비스 지급 기준으로 활용해 왔기 때문에 개인의 서비스 필요도와 서비스 목적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앞으로는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특성, 주거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보는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를 통해 수급 자격과 급여량을 결정합니다.

서비스가 꼭 필요한 장애인을 골라내기 위한 장치입니다.

내년 7월부터는 활동지원급여,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 응급안전서비스에 대해 종합조사를 우선 적용합니다.

이동지원과 소득·고용지원을 위한 종합조사는 각각 2020년과 2022년에 시작합니다.

장애등급이 없어진다고 해도 기존에 등급을 받았던 장애인이 장애심사를 다시 받거나 장애인 등록증을 새로 발급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복지부는 장애등급제 폐지와 더불어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을 위한 '장애인 맞춤형 전달체계 구축' 사업도 함께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장애인과 서비스 내용을 알기 어려운 발달장애인 등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도 신청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과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찾아가는 상담을 확대합니다.

또 시군구에 장애인 전담 민관협의체를 설치해 읍면동에서 문제를 해결해주기 어려운 장애인 가구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의 민간자원을 연계해 지속적으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