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체부, 장애인 체육센터 150개 건립·생활체육교실 확대

문체부, 장애인 체육센터 150개 건립·생활체육교실 확대
문화체육관광부는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3대 추진전략과 8대 핵심과제를 발표했습니다.

문체부는 오늘(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유산(legacy) 창출을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이와 관련한 내용을 밝혔습니다.

문체부는 '장애인 체육, 모두를 위한 체육의 시작'이라는 비전으로 ▲장애인이 주도하는 체육 ▲장애인이 즐기는 체육 ▲장애인과 함께하는 체육 등 3대 추진전략을 설명했습니다.

문체부는 먼저 2025년까지 장애인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 150개를 신규 건립하기로 했습니다.

시·군·구 단위로 건립되는 '반다비 체육센터'는 장애인이 우선하여 사용하되, 비장애인도 함께 이용하는 통합시설로 운영될 계획입니다.

체육관형, 수영장형, 종목별 특화형 등으로 세분화해 건립될 '반다비 체육센터'는 단순한 체육시설이 아닌 장애인 커뮤니티 센터 및 복합 문화체육시설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울러 비용문제로 체육 활동을 못 하는 장애인이 없도록 현재 저소득층 유·청소년을 대상으로 발급하고 있는 스포츠강좌이용권을 장애인을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2019년 연구용역을 시행한 뒤 2020년 이후 도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장애인 체육 입문자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 생활 체육교실도 현재 622개에서 2022년까지 1천300개로 대폭 확대하기로 하고 장애유형별로 다양한 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또 장애인 생활체육 동호회 지원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동호회가 일부 종목에 편중되지 않도록 종목별 동호회 지원을 다양화하고, 생활체육교실 참여자의 동호회로의 전환을 우선 지원합니다.

문체부는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도 대폭 확대합니다.

올해 577명인 생활체육지도자는 2019년 800명으로 늘린 뒤 2022년까지 1천2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은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장애인 체육의 발전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전체 장애인 중 90%에 가까운 사람이 교통사고 등 사고로 인한 중도 장애인임을 고려하면, 오늘 발표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은 장애인만을 위한 정책이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정책"이라며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가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핵심 유산으로 자리매김하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