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구글은 당신이 원치 않아도 어딜 다녔는지 안다"

"구글은 당신이 원치 않아도 어딜 다녔는지 안다"
구글이 사용자들이 원치 않더라도 이들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고 AP통신이 지적했습니다.

통신은 프린스턴 대학의 컴퓨터공학 연구자들과의 공동 취재를 통해 안드로이드 장치, 아이폰에서 이뤄지는 구글의 이런 관행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구글은 길 찾기를 위해 구글맵스를 이용할 때처럼 위치정보를 쓰는 대다수 경우에 사용자의 동의를 미리 얻습니다.

시간을 두고 위치정보를 기록하도록 동의한다면 구글맵스는 '타임라인'을 통해 일일 이동명세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분 단위로 누가 어디에 갔는지 이동 내용을 기록해 저장하는 건 사생활침해 위험이 있어 구글은 '위치기록' 기능을 끌 수 있도록 합니다.

구글은 "위치기록을 언제라도 끌 수 있습니다. 위치기록을 끄면 당신이 가는 곳이 더는 저장되지 않습니다"라는 안내문을 보냅니다.

하지만, AP통신은 이 안내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위치기록을 중단해도 몇몇 다른 구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시간이 찍힌 위치 자료를 묻지도 않고 저장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구글은 구글맵스를 단순히 열었을 때, 안드로이드폰의 자동 일기예보를 갱신할 때 위치를 저장합니다.

위치와 아무 관계가 없는 검색을 할 때도 장소가 그런 방식으로 저장되는 때도 있습니다.

AP통신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20억명, 구글맵스나 검색에 의존하는 수천만 아이폰 이용자가 이런 사생활 문제의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미국연방통신위원회 수석 기술자를 지낸 미국 프린스턴대 컴퓨터공학자 조너선 메이어는 사용자가 원치 않음에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잘못된 행태라고 지적했습니다.

메이어는 "'위치기록'이라고 불리는 것을 끌 수 있도록 한다면 위치기록이 되는 모든 장소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논란과 관련해 구글은 불투명한 부분이 전혀 없다고 항변했습니다.

구글은 AP통신에 보낸 성명에서 "구글이 사람들의 경험을 더 좋게 하려고 여러 다른 방식으로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며 "'위치기록', '웹과 앱 활동, 장치 차원의 '위치서비스 등이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

AP통신은 위치기록을 끄고 웹과 앱 활동을 끄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타임라인만 사라질 뿐 구글의 위치기록 수집은 중단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구글에 비판적인 이들은 구글이 광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사용자들의 위치기록에 집착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광고기술업체인 디스틸러리의 지형공간정보학 수석 애널리스트인 피터 렌스는 "구글이 자료를 이용해 광고정보를 구축한다"며 "자료가 많을수록 수익이 커지기 마련"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