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971년생 인구 가장 많아…주민등록인구 평균 연령은 41.5세

1971년생 인구 가장 많아…주민등록인구 평균 연령은 41.5세
▲ 위 사진은 이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5천177만여명이며, 이중 '돼지띠' 1971년생이 가장 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전국 행정구역, 공무원 정원, 지방자치단체 예산 등 행정안전 부문 통계를 정리한 '2018 행정안전통계연보'를 7일 발간했습니다.

통계연보에는 정부조직과 행정관리, 전자정부, 지방행정, 지방재정, 안전정책, 재난관리 등 9개 분야, 401개 통계표가 수록됐습니다.

주민등록인구는 2017년말 기준 5천177만8천544명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습니다.

가구당 인구수는 2.39명으로 전년 대비 0.04명 줄었습니다.

주민등록인구의 전국 평균연령은 41.5세로 전년보다 0.5세 증가했습니다.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46세(1971년생)로 94만4천179명이었습니다.

남성 중에서는 46세가, 여성 중에서는 57세(1960년생)가 가장 많았습니다.

시도별 평균연령은 세종이 36.7세로 가장 낮고 전남이 45세로 가장 높았습니다.

공무원 정원은 104만8천831명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습니다.

이 중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정원은 31만6천853명으로 3.1% 늘었습니다.

2018년 지자체 예산은 210조7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9.1% 늘었습니다.

특히 사회복지예산이 전년 대비 15.5% 늘어나면서 전체 예산 중 27.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지자체 재원조달 자립도를 나타내는 재정자립도는 전국 평균 53.4%였습니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서울의 재정자립도가 82.5%로 가장 높았고 전남이 20.4%로 가장 낮았습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서울 강남구의 재정자립도가 67.9%로 가장 높았고 전남 구례군이 8.5%로 가장 낮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