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 중국 스마트폰시장 2분기 점유율 또 '0%대'로 하락"

"삼성, 중국 스마트폰시장 2분기 점유율 또 '0%대'로 하락"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삼성전자의 2분기 점유율이 다시 1% 미만으로 떨어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3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분기 중국 시장에서 80만대를 출하, 점유율 0.8%로 12위를 차지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중국 점유율은 2013년까지만 해도 20%에 달했지만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에 밀리면서 계속 하락했다.

작년에도 1분기 3.1%, 2분기 2.7%, 3분기 2.0%, 4분기 0.8%로 감소했습니다.

그나마 올해 1분기 갤럭시S9을 출시하고 대대적인 현지 마케팅을 하면서 중국 시장 점유율이 1.3%로 올라 간신히 '1%'대를 회복했습니다.

2분기에는 갤럭시S9 마케팅과 함께 갤럭시A8 스타와 중국 전용 모델인 갤럭시S 라이트 럭셔리 등을 출시하며 라인업을 대폭 보강했지만, 중국 제조사들 역시 프리미엄폰부터 중저가폰까지 다양한 제품을 쏟아내면서 공세에 밀렸습니다.

삼성전자가 작년 동기 대비 점유율이 3분의 1로 떨어지는 동안 중국 업체들은 분기 점유율을 늘렸습니다.

화웨이가 2천850만대를 출하, 점유율 27.0%로 1위를 지켰고, 오포(2천150만대, 20.4%), 비보(2천만대, 19.0%), 샤오미(1천500만대·14.2%), 애플(600만대, 5.7%)이 뒤를 이었습니다.

작년 동기 점유율과 비교하면 화웨이는 8%포인트, 오포 1.3%포인트, 비보 4.4%포인트, 샤오미 1.3%포인트, 애플 0.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인 인도에서도 중국 샤오미와 1위를 두고 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올 1분기 연속 중국 샤오미의 공세에 1위를 내준 삼성전자는 2분기 인도에서는 29% 점유율로 샤오미를 1%포인트 차로 따돌리고 1위를 기록했습니다.

다른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샤오미 점유율이 30.4%, 삼성전자 점유율이 30.2%로 불과 0.2%포인트 차이였습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인도 노이다 신공장 가동을 통해 현지 스마트폰 생산을 늘리는 등 현지화 전략을 강화했습니다.

로이터는 1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인도 시장에서 라이벌인 중국 제조사들의 전략을 배우고 있다"며 "소매점에 영업직원을 보내고 크리켓을 후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젊은 브랜드'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온라인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