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기무사의 대응 문건이 작성됐었다는 주장에 대해서 여야가 연일 공방을 벌이고 있습니다. 한국당은 이틀째 국정조사 실시를 주장하고 나섰고, 민주당은 이 주장 자체가 허위라고 반발했습니다.
민경호 기자입니다.
<기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기무사 문건 유출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가 국정운영 위기를 돌파하려고 군을 끌어들인 것이라면 이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할 거라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때도 기무사가 상황대비 문건을 작성했단 게 확인된 만큼 2016년 기무사 계엄 문건 유출 경위에 대해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성 정체성을 거론하며 논란을 자초했던 임태훈 군 인권센터 소장에 대해선 국방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람이 군 개혁을 말하는 문제를 지적한 거라고 김 원내대표는 해명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국당의 주장이 허위라고 맞받았습니다.
박경미 원내대변인은 한국당이 "참여정부에서도 계엄 검토가 있었단 가짜뉴스를 들고나오고, 계엄 문건을 폭로한 시민단체 대표의 개인적 측면을 문제시한다."면서,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현 대변인도 김병준 한국당 비대위원장이 김 원내대표의 '성 정체성' 발언을 '소신 발언'으로 감싸고 기무사 계엄 문건을 평가절하한다면서 물타기 정치공세만 벌인다고 비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