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국-중국 외무장관 양자회담…자유무역협정 가능성 등 타진

영국-중국 외무장관 양자회담…자유무역협정 가능성 등 타진
영국과 중국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른바 브렉시트 이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가능성을 타진했습니다.

30일(현지시간)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제러미 헌트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양자회담을 갖고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양측은 자유무역과 기후변화 대응을 지지하기로 약속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헌트 장관은 영국이 브렉시트 이후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시작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중국과 영국은 매우 다른 시스템을 갖고 있지만 공통점 역시 많다"면서 "중국의 부상과 중국 경제의 힘은 전 세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가디언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중국이 동맹을 찾는 시기에 헌트 장관의 방문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만남에서 홍콩의 인권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헌트 장관은 "우리는 포괄적인 논의를 통해 강한 합의에 이른 부분이 있지만 인권과 관련해서는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때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은 중국의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 원칙 아래 자율성을 부여받았지만 최근 중국 정부의 인권과 정치적 자유에 대한 탄압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홍콩 문제에 대해 헌트 장관은 "홍콩은 중국의 일부로 영국은 '일국양제' 원칙을 지지한다"면서 "이는 중국과 홍콩에 매우 잘 적용돼왔다"고 언급했습니다.

왕이 국무위원은 "중국은 국내 문제에 관해 다른 나라가 개입하는 것을 환영하지도 않고 받아들이지도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영국을 국빈방문하면서 데이비드 캐머런 당시 영국 총리와 조지 오스본 재무장관은 영국과 중국이 '황금시대'를 맞았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영국의 전략적 가치가 떨어지면서 양국 관계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앞서 테리사 메이 총리는 지난 1월 대규모 경제사절단과 함께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연합뉴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