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 지하도상가 점포 권리금, 1년 논란 끝 전면 금지

서울 지하도상가 점포 권리금, 1년 논란 끝 전면 금지
서울시가 1년 넘게 이어진 논란 끝에 을지로·명동·강남·영등포 등 지하도상가 점포 2천 700여 곳의 임차권 양수·양도를 전면 금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상인들은 장사를 그만두더라도 권리금을 받고 임차권을 팔 수 없습니다.

임대계약을 중도 해지할 때는 위약금을 물어야 하며, 빈 점포는 경쟁입찰로 새 주인을 찾게 됩니다.

서울시가 지난 19일 공포한 '지하도상가 관리 일부개정조례'에는 지난 20년간 허용됐던 지하도상가 임차권 양수·양도를 금지한다는 점이 명시됐습니다.

서울시는 조례 개정 이유로 "임차권 양수·양도 허용 조항으로 불법권리금이 발생하고, 사회적 형평성에 배치된다는 외부의 지적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임차권리를 양도·양수하는 것은 상위법인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에 위반된다는 행정안전부 유권해석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조치의 영향을 받을 서울의 지하상가는 총 25곳, 2천 700여 개 점포입니다.

지하도상가 권리금을 금지한 조례안은 지난해 6월 입법 예고된 뒤 8월 서울시의회에 제출됐으나 상인들의 거센 반대로 시의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서울 내 지하도상가 대부분은 민간이 도로 하부를 개발해 조성한 상가를 장기간 운영한 뒤 서울시에 되돌려주는 기부채납 형태로 생겼습니다.

서울시는 1996년 지하상가가 반환되자 1998년 임차권 양도 허용 조항이 포함된 지하상가 관리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상인들은 권리금을 이제 와서 금지하는 것은 재산권 침해라고 반발해왔습니다.

많게는 수억 원의 권리금을 주고 입점했는데 임차권 양도가 막히면 이를 회수할 방법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여러 상인이 "비용을 들여 점포를 리모델링하고, 상가 가치를 향상한 점을 인정해 권리금 회수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는 요지의 의견을 시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서울시는 "지하도상가는 공유재산이기에 매매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권리금 금지 조례는 결국 제9대 서울시의회의 마지막 본회의가 열린 6월 29일 시의회를 통과했습니다.

정인대 전국지하도상가 상인연합회장은 "황당하게도 민선 6기 마지막 날 권리금 금지 조례가 단 3분 만에 시의회를 통과했다"며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사회 이슈로 떠오른 상황에서 어려움을 풀어주기는커녕 영업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시의회도 권리금 금지에 따른 충격 최소화를 권고했습니다.

서울시는 기간을 못 채우고 장사를 그만둘 때 내야 하는 위약금을 없애는 방안과 대형서점·벼룩시장 유치 등으로 지하도 상권에 활력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