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기업 데이터 유출 피해액 평균 31억…40%는 해킹 때문"

"한국 기업 데이터 유출 피해액 평균 31억…40%는 해킹 때문"
한국 기업의 데이터 유출 피해액이 평균 31억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IBM이 공개한 '2018 글로벌 기업 데이터 유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데이터 유출로 인해 평균 약 31억원의 금전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출 데이터 한 건당 피해액은 약 14만9천500원으로 조사됐습니다.

데이터 유출 원인은 사이버 공격 40%, 시스템 결함 32%, 사용자 오류 2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국가와 비교해 시스템 결함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또한, 세계적으로 의료 산업이 데이터당 금전적 피해가 가장 큰 반면, 한국은 금융업의 피해가 가장 컸습니다.

한국 기업이 데이터 유출 사고를 발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201일로 미국과 동일했지만, 사고 발견 시 조처를 하고 대응하는 데는 평균 67일이 소요돼 미국 52일보다 약 2주가 길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유출로 인한 피해 규모는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조사 대상인 15개국 500개 기업의 평균 피해액은 약 386만달러 한화 약 43억원으로 전년보다 6.4% 증가했습니다.

100만건 이상의 대량 데이터 유출 사고는 지난 5년간 두 배가량 증가했습니다.

대량 데이터 유출의 최대 원인은 악의적인 사이버 공격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유출 피해 규모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기업 내 사건대응팀 구성, 사이버 보안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활용 등이 꼽혔습니다.

보안 자동화 기술을 도입한 기업의 피해액은 도입하지 않은 기업보다 평균 150만달러 약17억원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기업의 보안 자동화 기술 도입률은 약 60%로 독일과 캐나다에 이어 3번째로 높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