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넌 남자검사의 0.5야"…여성검사 85% '여자라 인사에 불리'

"넌 남자검사의 0.5야"…여성검사 85% '여자라 인사에 불리'
여성 검사 7명 중 6명은 인사에서 여성이 불리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법무·검찰 내 여성 구성원 대부분은 근무평정과 승진 등에 불이익을 받을까 봐 성범죄가 발생해도 문제제기를 하지 못한다고 답변했습니다.

법무부 성범죄·성희롱 대책위원회(위원장 권인숙)는 15일 이런 내용의 성범죄·성희롱 실태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법무부에 성평등위원회를 만들고 법무·검찰 주요 보직에 여성검사를 30% 배치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대책위가 올해 2월 출범 이후 시행한 성희롱·성범죄 실태 전수조사 결과를 보면 여성 검사의 82.3%가 '조직문화가 성평등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85%는 '근무평정, 업무배치, 부서배치에서 여성이 불리하다'고 답변했고, 법무·검찰 전체 여성 구성원의 67%는 성범죄에 문제제기를 하지 못하는 이유로 '근무평정, 승진, 부서배치 등에 부정적 영향'을 꼽았습니다.

여성 검사들과 간담회에서는 상급자 남성 검사로부터 "넌 남자검사의 0.5야"라거나 "여자니까 너는 성폭력 사건이나 담당해"라는 등의 성차별적 언사를 들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대책위는 법무·검찰 내 모든 분야에서 고위직으로 갈수록 여성 비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서·보직 배치에서도 성별 편중 인사가 이뤄진다고 보고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현재 전체 검사 2천158명 중 여성 검사는 650명으로 30.12%를 차지하지만 부부장검사 이상 여성 간부는 전체의 7.98%인 52명에 불과합니다.

주요 부서로 꼽히는 법무부 근무 검사 65명 중 여성은 8명으로 12.3%, 대검찰청은 69명 중 4명으로 5.79%였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역시 여성 검사는 20.1%로, 모두 전체 여성 비율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게 대책위의 판단입니다.

대책위는 인사에서 성별에 따른 편견을 배제하고 평등한 순환보직 체계를 마련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이를 위해 검찰·교정·보호·출입국 등 각 영역의 인사·예산·감찰 담당 등 주요 보직에 여성을 우선 배치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검찰의 경우 주요 보직인 법무부·대검찰청·서울중앙지검에 여성 검사를 전체 비율에 맞춰 30% 배치하도록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