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의사수 OECD '최하', 외래진료 횟수는 '최고'

한국 의사수 OECD '최하', 외래진료 횟수는 '최고'
우리나라 의사는 인구 천 명당 2.3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적고, 국민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한해 17회로 OECD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간한 '보건통계 2018'의 주요 내용을 분석해 12일 발표했습니다.

올해 OECD 보건통계는 주로 2016년 수치를 기준으로 회원국의 보건의료 수준을 비교한 것입니다.

한의사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임상의사는 인구 천 명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었습니다.

OECD 평균은 3.3명이었고 미국 2.6명, 프랑스 3.1명, 노르웨이 4.5명, 오스트리아 5.1명 등이었습니다.

의대 졸업자 수도 인구 10만 명당 7.9명으로 OECD 평균 12.1명에 훨씬 못 미치고 아일랜드 24.4명, 덴마크 22.1명 등과 비교할 때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임상간호사도 인구 천 명당 6.8명으로 OECD 평균 9.5명보다 2.7명 적었습니다.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7.0회로 OECD 1위였습니다.

이는 회원국 평균 7.4회보다 2.3배나 높은 수준입니다.

일본이 12.8회로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외래진료 횟수가 많았고, 스웨덴 2.8회과 멕시코 2.9회가 가장 적었습니다.

우리나라 환자 1인당 평균 입원일수는 18.1일로 일본이 28.5일로 다음으로 길었습니다.

일본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모든 회원국의 재원일수는 10일 미만에 불과했습니다.

국내 병상 규모는 인구 천 명당 12.0병상으로 역시 일본 13.1병상에 이어 두 번째로 컸습니다.

OECD 평균은 4.7병상이었고, 지난 5년간 대부분 회원국에서 병상 수가 줄었지만 우리나라는 1.3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국내에서 요양병원 설립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우리나라의 의료장비 보유수준은 세계 최고였습니다.

국내 의료기관이 보유한 MRI와 CT는 인구 100명당 각각 27.8대, 37.8대로 OECD 평균 16.8대, 26.8대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수술 분야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2015년 국내 제왕절개는 출생아 천 명당 394.0건으로 터키 531.5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회원국 평균 264.0건보다도 훨씬 많은 수준이었습니다.

천 명당 1일 항생제 소비량은 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을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34.8DDD로 OECD 평균 20.8DDD에 비해 1.7배 많았고, 항우울제 소비량은 19.9DDD로 OECD 평균 62.2DDD의 3분의 1 수준이었습니다.

2017년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는 PPP 기준 2천897달러로 OECD 평균 4천69달러보다 낮았습니다.

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규모는 7.6%로 OECD 평균 8.9%에 비해 낮았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습니다.

65세 이상 인구 중 장기요양 수급자 7.8%와 GDP 대비 장기요양지출비의 비중 0.9%는 아직 OECD 국가 중 낮은 편이지만, 급속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