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수기 안전관리 강화…필터 표준교환주기 산정법 마련

정수기 안전관리 강화…필터 표준교환주기 산정법 마련
지금까지 제조업체가 임의로 정하던 정수기 필터 교환주기 관리가 강화되고, 전문 인증기관이 정수기 품질검사를 맡게 됩니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정수기 안전관리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오는 1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이 대책은 2016년 얼음정수기 니켈 검출 사건 이후 민·관 합동 대책반이 발굴한 과제와 연구용역 결과 등을 종합해 마련됐습니다.

대책은 정수기 제조업체를 회원사로 두는 한국정수기공업협동조합에서 해오던 정수기 품질검사를 앞으로 설립될 한국물기술인증원이 맡도록 했습니다.

한국물기술인증원은 내년 6월 시행되는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될 예정입니다.

최종적으로 정수기 품질검사 적합 여부를 판정하는 정수기 품질심의위원회 심의도 강화해 구조·재질, 사후관리, 표시사항 등 분야별 전문가를 2명에서 4명으로 늘립니다.

종합대책은 정수기 위생관리체계를 표준화하는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정수기 성능의 핵심인 필터의 경우 흡착, 여과 등 기능과 활성탄·역삼투막 등 종류에 따라 표준교환주기 산정법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필터 교환주기는 제조업체가 임의로 실험한 결과를 제품에 표시했지만, 앞으로는 표준교환주기 산정법에 따른 교환주기를 표시해야 합니다.

판매량이 늘고 있는 복합정수기의 제빙, 음료 제조 등 부가 기능에 대해서도 안전관리를 강화합니다.

이에 따라 복합정수기는 정수 기능뿐 아니라 부가 기능도 별도의 품질검사를 받아야 판매가 가능해집니다.

환경부는 작년 12월 복합정수기의 부가 기능도 품질검사를 받도록 하는 '먹는물 관리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연구용역 등을 통해 구체적인 품질검사체계를 마련 중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