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멸종위기 1급 '장수하늘소' 증식 성공·광릉숲 방사

멸종위기 1급 '장수하늘소' 증식 성공·광릉숲 방사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11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장수하늘소 증식에 성공, 수컷 2마리를 광릉숲에 방사했습니다.

토종 장수하늘소를 증식해 현지에서 복원한 국내 첫 사례입니다.

장수하늘소는 생물지리학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류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수컷 몸길이는 8.5∼10.8㎝, 암컷은 6.5∼8.5㎝에 달합니다.

국내에서는 1934년 곤충학자인 조복성 박사에 의해 처음 기록됐습니다.

그러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 국내 관측이 어려웠습니다.

문화재청은 1968년 장수하늘소를 천연기념물 제218호로 지정했고, 곤충 가운데 처음입니다.

2002년 장수하늘소 수컷 1마리가 사체로 발견됐으며 2006년 암컷 한 마리가 광릉숲에서 산 채로 관측됐습니다.

당시 국립수목원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도 살아있는 장수하늘소를 처음 봤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이후 관찰되지 않다가 2014년 수컷 1마리, 2015년 암컷 1마리, 2016년 수컷 1마리, 지난해 암컷 1마리가 잇따라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다만 2015년에는 조류의 공격을 받아 폐사한 채로, 2016년에는 앞가슴 판이 파손된 채로 발견됐습니다.

이번에 방사한 장수하늘소는 지난해 발견된 암컷이 낳은 16개 알에서 부화한 유충 가운데 수컷 성충이 된 2마리입니다.

국립수목원은 2016년 발견돼 성충이 된 1마리도 함께 방사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폐사했습니다.

국립수목원은 이날 방사 후 산림 곤충 종 복원 학술 세미나도 진행했습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인 광릉숲이 장수하늘소의 유일한 서식처로 확인된 만큼 종 보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