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미국 외 국가에서 대두·자동차 수입 늘리겠다"

중국 "미국 외 국가에서 대두·자동차 수입 늘리겠다"
미국에 같은 규모의 보복관세로 반격에 나선 중국이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대두, 자동차 수입을 늘리고 늘어난 세수로 기업 손실 등을 메워주기로 했다.

중국은 또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의 유럽 순방을 계기로 유럽산 농산물 수입확대를 검토하는 등 전방위적인 대책에 착수했다.

10일 신화통신과 중신망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전날 미국과의 무역갈등에 따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설명하며 기업들의 수입구조를 조정해 대체 수입선을 적극 발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 측은 "보복관세를 부과할 미국산 제품 품목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수입 상품의 대체성과 무역투자에 대한 전체 영향을 충분히 고려했다"며 4가지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먼저 미중 관세전쟁으로 인해 중국 기업들이 받는 영향을 계속 모니터링 평가하는 한편 미국에 대한 반격 조치로 늘어난 세수 수입을 기업 및 노동자들이 받는 영향을 해소하는데 사용하기로 했다.

34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25%의 보복관세 부과에서 나오는 추가 세수를 무역전쟁으로 인해 손실을 보는 기업과 노동자들에게 투입하겠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통신은 익명의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국가비축용 미국산 대두를 수입하는 경우 조달업자에게 25%의 관세 비용을 환급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이와 함께 기업들이 기존의 수입구조를 바꿔 다른 국가 및 지역에서 대두, 대두박(콩깻묵·콩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 등 농산물과 수산물, 자동차 수입을 늘리도록 할 계획이다.

중국은 이미 지난 1일부터 한국, 인도, 방글라데시, 라오스, 스리랑카산 대두, 대두박, 어분 등 가축 사료용 농산물에 대해 붙었던 수입관세를 철회한 상태다.

원래 대두에 3%, 대두박과 어분에는 각각 5%, 2%의 관세가 붙었는데 이를 모두 없앤 것이다.

중국은 이처럼 해외 공급처 확보에 나서는 한편 동북 지역에서의 대두 재배면적을 크게 늘리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이와 함께 효과적인 외자 이용 및 질적 발전 추구 방향에 맞춰 외국기업의 합법적 권익 보호를 강화하고 더 나은 투자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중국 국무원은 전날 일용품과 의약품, 양로·간호 설비, 부가서비스 상품, 농산물 및 자원성 제품의 수입을 대폭 늘리고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관련 국가를 신규 수입선으로 집중 발굴하는 내용의 수입확대 정책방향도 마련했다.

특히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에 대해 유럽연합(EU)과 공조 대응 체제를 구축하는 차원에서 유럽산 농산물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리 총리의 유럽 순방에 맞춰 유럽산 농산물 수입이 확대될 것이라며 이는 미중 무역전쟁 압력을 낮추기 위한 의도도 있지만 중국이 대외개방을 지속해서 확대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여주는 목적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리 총리는 지난 8일(현지시간) 불가리아 방문을 마치면서 중국은 유럽 국가와 관계를 공고히 하고 다자주의를 함께 견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으며, 중·동유럽(CEEC) 16개국 모임인 '16+1' 정상회의에 참석해 이들 국가에서 농산품 수입 확대를 약속했다.

리 총리는 이 자리에서 CEEC 국가의 육류, 유제품, 꿀, 와인 등의 수입을 늘려 중국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줄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중국 해관총서(세관)가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를 통해 공개했다.

바이밍(白明) 중국 상무부 국제시장연구소 부주임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아니더라도 중국은 인구 증가 등을 고려해 CEEC 국가들과 농산품 교역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또 9일 독일 베를린에서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만나 세계무역기구(WTO) 기반의 무역질서와 다자주의를 존중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이루고 자유무역 체제에 대한 뜻을 함께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