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폼페이오 "북한도 베트남처럼…유해송환, 북미 신뢰 구축할 것"

폼페이오 "북한도 베트남처럼…유해송환, 북미 신뢰 구축할 것"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9일(현지시간)) 6·25전쟁 때 실종된 미군유해 송환이 북미 간 신뢰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전날 베트남에 도착,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와 함께 경제성장을 이룬 '베트남의 길'을 걸으라며 북한에 메시지를 발신한 데 이어 베트남전 유해송환으로 시작된 양국 관계 정상화 프로세스를 거론, 베트남 모델의 벤치마킹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트위터에 "내가 하노이에 도착하기 전 베트남이 미군유해 2구를 인도했다"며 "45년 전 이뤄진 이와 똑같은 조치는 미국과 베트남 간 신뢰를 구축했다. 오늘날 우리는 강력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북한(DPRK)도 유해송환을 약속했다"면서 "이 같은 조치는 미국과 북한 간 신뢰와 확신을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의 6∼7일(한국시간) 방북에서 북미는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합의된 '한국전 참전 미군 유해 즉각 송환' 문제 협의를 위한 회담을 오는 12일 판문점에서 열기로 했다.

베트남은 베트남전(1964∼1975년)을 거치며 미국의 적국이 됐으나 종전 20년 만인 1995년 미국과 국교를 다시 수립하고 관계를 정상화했다.

이 과정에서 1985년부터 베트남전 실종 미군유해 송환을 위해 미국과 본격 협력하기 시작한 것이 적대관계 청산 및 관계 정상화의 본격적인 출발점이 됐다.

베트남은 지난 2016년 사실상 미국의 마지막 제재라고 할 수 있는 무기금수에서도 벗어났다.

전쟁으로 미국과 적대관계가 된 북한도 베트남 모델을 따른다면 '더 밝은 미래'가 보장될 수 있다는 게 미국 측이 강조하는 메시지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재계 인사들을 상대로 한 연설에서도 "(베트남이) 과거를 딛고 엄청나게 도약할 수 있었던 열쇠는 미국과의 새로운 관여정책이었다"며 "이는 베트남전에서 실종된 미군의 유해를 송환하기 위해 양국이 협력하면서 시작됐다. 이 작은, 그러나 믿기 힘들 정도로 의미 있는 첫 번째 발걸음이 마침내 더 나은 유대관계와 1995년의 공식적인 관계 재건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오늘날 미국이 김(정은) 위원장과 맞닥뜨리고 있는 것과 같은 문제"라며 "베트남 국민의 근면성과 결합한 미국과의 새로운 유대, 그리고 견실한 리더십이 베트남을 오늘날의 성공 스토리로 이끌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베트남 양국 교역 규모 급증과 미국 기업의 대(對) 베트남 투자, 베트남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베트남의 기적'을 언급하는 한편, 지난 3월 미 태평양함대 소속 핵 추진 항공모함 칼빈슨(CVN-70) 강습전단이 베트남전 종전 43년 만에 처음 다낭에 입항한 사례와 2년 전 무기금수 제재 해제 등을 거론, 안보 분야 협력 강화도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 우리는 전장에서의 적이었지만 오늘날 안보적 관계에서도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베트남이 미국과 관계를 정상화한 결과를 '넘쳐나는 번영과 안보'로 규정한 뒤 "이제 하노이의 지도자들은 잠자리에 들 때 미국과의 충돌을 머릿속에 떠올리지 않는다. 미국이 과거의 상처들을 들쑤시는데 아무런 흥미가 없다는 사실에 안도하며 편히 잠든다"고 말했다.

그는 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식량과 주거지 공급 부족 등 전후 후유증에 시달리며 고립된 베트남이 개방과 개혁을 통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성공한 사례를 들어 "베트남 지도자들은 그들의 나라도 주권과 독립, 정부 형태를 위협받지 않은 상태에서 개혁과 개방, (국제사회에서) 관계 구축이 가능하다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에 대한 체제안전 보장 입장을 우회적으로 거듭 재확인한 차원도 있어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