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졸 취업자 교육과정, 2022년까지 모든 4년제 국립대로 확대

교육부가 고졸 취업자를 위한 '후학습자 과정'을 2022년까지 모든 4년제 국립대에 도입하고 특성화고에도 혁신학교 모델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이번달 9일부터 18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공청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평생직업교육·훈련 마스터플랜' 초안을 공개합니다.

교육부는 먼저, 학교가 직업교육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그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산업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혁신형 특성화고' 모델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지역 산업계도 운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전공 간 이동이 쉽도록 '직업계고 학점제'를 도입합니다.

대학 역시 급속한 직업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학사제도를 유연화하고 성인학습자의 산업체 경험 등을 인정해 학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누구나 시간적·공간적 제약 없이 원하는 직무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K-무크, 즉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를 통해 온라인 교육을 확대합니다.

지속가능한 직업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로·직업지원체계를 통합해 생애 전 단계에서 직업교육과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직업계고-기술병 간 연계를 강화해 군 복무로 인한 경력단절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2022년까지는 전체 4년제 국립대 34개 학교가 후학습자 전담과정을 개설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4개 대학이 고졸 취업자를 위한 후학습자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직업교육의 고도화를 위해 전문대 교원의 자격 기준을 4년제 대학 교원 규정에서 분리해 신설하고, 현장 전문가가 직업계고로 유입될 수 있게 전문교과 사범대 재직자 특별전형 도입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폴리텍의 경우 학위과정을 축소하고 학과를 통폐합하는 한편, 고학력 청년 대상 하이테크 과정과 경력단절여성·신중년 특화과정을 늘립니다.

중소기업 재직자의 직업교육훈련 기회를 확대하고, 신중년의 재취업 등 '인생 2모작' 지원을 위해 직업교육훈련 기회도 늘리게 됩니다.

교육부는 세차례 공청회를 통해 이런 내용에 대한 학생과 교원, 그리고 노동계와 경영계, 교육훈련기관과 재직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달 말까지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