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스pick] 바나나 멸종 막을 야생 바나나…5그루밖에 안 남았다

[뉴스pick] 바나나 멸종 막을 야생 바나나…5그루밖에 안 남았다
바나나의 멸종을 막을 열쇠를 쥔 야생 바나나가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영국 BBC 방송이 6일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바나나를 품고 있는 야생 바나나 나무는 아프리카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에 딱 5그루 남아 있습니다.

영국 '큐 왕립식물원'(RBG Kew) 소속 과학자들은 향후 바나나를 안전하게 보호하려면 이들 바나나 나무를 꼭 보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과학자들은 마다가스카르를 뒤져 이들 바나나 나무를 찾아냈으며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들 바나나는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이 최근 정한 적색 리스트에 포함됐습니다.

마다가스카르 바나나는 홀로 떨어져 섬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해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큐 왕립식물원 리처드 앨런 보존 평가사는 마다가스카르 바나나 성체는 가뭄이나 병에 태생적으로 저항력을 갖추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들 바나나는 농작물을 숙주로 한 전염병인 '파나마병'(Panama disease)에 감염되지 않았다"면서 "이로 미뤄볼 때 유전적으로 병에 강한 기질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마다가스카르의 이들 바나나 나무에서 자라는 바나나 안에는 씨가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맛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종교배를 통해 새로운 품종의 바나나가 만들어지면 그 바나나는 먹기 적합하고 병충해에도 강할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들 바나나 나무는 마다가스카르 섬 한쪽 구석에서 자라고 있어 혹독한 날씨와 벌목, 화재, 삼림 정리 탓에 해를 당할 가능성이 큽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소비되고 있는 바나나는 캐번디시(Cavendish) 종으로 알려졌습니다. 캐번디시 종은 식물 병충해에 취약합니다.

이 종에 영향을 미치는 병충해는 현재로는 아시아 지역에 국한돼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병충해가 남북 아메리카로 확산할 경우 전 세계 모든 바나나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바나나는 유전적으로 복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나무가 병충해 공격을 받으면 곧바로 모든 바나나 나무도 병충해 피해를 본다는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야생 바나나 멸종에 대비해 맛있고 파나마병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큐 마다가스카르 보존센터 헬렌 랄리마나나 박사는 바나나 나무는 마다가스카르의 풍부한 식물 유산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들 야생 바나나 나무를 잘 보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커다란 바나나 씨앗에서 재배 바나나의 품종을 개량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픽사베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