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성주 국민연금 이사장, 'CIO 인선에 청와대 개입'설 일축

김성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최고투자책임자(CIO)인 기금운용본부장 인선 과정에 청와대 인사가 개입했다는 설이 제기되는 데 대해 '인사권자는 자신'이라며 일축했습니다.

최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공모에 지원했다가 탈락한 곽태선 전 베어링자산운용 대표가 일부 언론에 "공모과정 전에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에게서 지원 권유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하면서 청와대 인사 개입설이나 내정설 등이 불거졌습니다.

김 이사장은 5일 이에 대해 "청와대 인사 개입은 없고, 코드인사도 없다"고 단호하게 선을 그었습니다.

청와대 인사 개입 논란으로까지 번진 CIO 공모과정에 대해 김 이사장이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 이사장은 "CIO 공모에 누구나 자천타천으로 추천할 수 있지만 인사권자는 어디까지나 연금공단 이사장으로, 이사장인 제가 심사를 거쳐 올라온 3명의 후보자 중에서 결정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은 작년 7월 17일 당시 강면욱 본부장이 일신상의 사유로 사표를 제출하고 물러난 뒤 지난 2월 19일 후임 공모에 들어갔습니다.

여기에는 16명이 지원해 8명이 1차 서류전형을 통과했고, 면접전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곽태선 전 베어링자산운용 대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출신인 윤영목 제이슨인베스트먼트 자문역(부사장), 이동민 전 한국은행 외자운용원 투자운용부장 등 3명이 최종 후보자로 올라갔습니다.

이후 곽 전 대표가 '유력하다'거나 '내정됐다'는 등의 일부 추측이 언론 일각에서 나왔지만, 곽 전 대표를 포함한 최종 후보자 3명 모두 최근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인사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국민연금공단은 "적격자가 없다"며 6일부터 재공모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이와 관련, 곽 전 대표는 일부 언론에 "장하성 실장이 CIO 지원을 권유했다"느니, "CIO 전형이 한창 진행 중인 지난 4월 초에 김성주 이사장이 자신을 국민연금공단 본부가 있는 전주로 불러 사실상 내정을 통보했다"는 등의 주장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장 실장이 (곽 전 대표에게) 지원해보라고 전화로 권유했지만, '잘 되기를 바란다'는 덕담 차원의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권유와 인선을 위한 심사는 무관하게 진행됐다는 것입니다.

김 이사장도 이런 청와대의 설명을 뒷받침했습니다.

김 이사장은 "인사 추천은 광범위하게 이뤄지지만 그게 실제 (인선) 되는 것 하고는 다르다"며 "장하성 실장이 어떻게 했는지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청와대 유력 인사가 추천했는데 검증 벽 통과 안 된 것 자체가 현 정부의 인사 시스템의 정확함을 더 보여주는 게 아닌가"라고 반문했습니다.

그는 유력후보였던 곽 전 대표가 최종 낙마한 이유에 대해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하기에 구체적으로 얘기할 순 없다면서도 "곽 전 대표가 청와대의 강화된 인사 검증을 뚫지 못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습니다.

청와대는 지난해 11월 말 7대 비리 관련 고위공직 후보자 인사 검증 기준을 내놓으며 이 기준 가운데 하나라도 해당하면 임용을 원천 배제하고 있습니다.

7대 기준은 ▲ 병역기피 ▲ 세금탈루 ▲ 불법적 재산증식 ▲ 위장전입 ▲ 연구 부정행위 ▲ 음주 운전 ▲ 성 관련 범죄 등입니다.

청와대도 이런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청와대의 다른 고위관계자는 "인사 검증을 하는 것이 있지 않나. 그중에서 하나 걸렸다고 봐야 한다"며 "우리 정부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서 탈락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병역 관련 문제인지 질문에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더라. 병역도 있고 국적 문제도 있고…"라며 "(통상) 검증을 해보면 여러 가지 문제가 나오곤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