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적, 北 의뢰한 남측 이산가족 생사확인 본격 착수

한적, 北 의뢰한 남측 이산가족 생사확인 본격 착수
대한적십자사(한적)는 북측 이산가족 200명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한적 관계자는 4일 "사실상 어제부터 북측의 이산가족들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에 착수했다"라며 "북측 이산가족 1명이 여러 명의 남측 가족을 찾는 경우가 많아 생사확인에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한적은 우선 통일부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우리측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명단과 북측 가족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이름과 나이, 거주지 등 인적사항을 일일이 대조하면서 확인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생존자는 6월 30일 현재 5만 7천59명, 사망자는 7만 5천425명입니다.

한적 관계자는 "북측에 사망 여부도 확인해줘야 하므로 이산가족 생존자뿐 아니라 사망자 명단도 대조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적은 북측에서 생사확인을 의뢰한 남측 가족이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를 비롯해 남측 가족의 현재 거주지와 소재 파악이 어려우면 정부 행정 전산망을 이용하거나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에 북측이 의뢰한 명단을 통보하는 등 여러 기관의 협조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적 관계자는 "북측 이산가족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소재를 전혀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라며 "이런 경우에는 북측에 '확인 불능'이라고 통보한다"고 전했습니다.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을 의뢰한 북측 이산가족 200명의 명단을 살펴보면 90세 이상 8명(4%), 80∼89세 124명(62%), 70∼79세 67명(33.5%), 69세 이하 1명(0.5%)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북측 이산가족이 상봉을 희망하는 가족관계는 부부·부자 116명(58%), 형제·자매 46명(23%), 3촌 이상 38명(19%) 순입니다.

한적은 북측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이 끝나면 오는 25일까지 '생존', '사망', '확인 불능' 등의 생사확인 결과가 담긴 회보서를 북측과 교환합니다.

남북은 생사확인 회보서의 생존자 중 최종 상봉 대상자 각각 100명씩을 선정해 8월 4일 이산가족 상봉자 최종 명단을 교환하는 것으로 상봉 준비를 마무리합니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22일 적십자회담을 열고 각각 100명씩의 이산가족이 상봉하는 행사를 8월 20∼26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