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환보유액 4천억 달러 첫 돌파…IMF 위기 때보다 100배 늘었다

외환보유액 4천억 달러 첫 돌파…IMF 위기 때보다 100배 늘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처음으로 4천억 달러대를 찍었습니다.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천3억달러로 한 달 전보다 13억2천만 달러 늘었습니다.

외환보유액은 3월 3천967억5천만 달러, 4월 3천984억2천만 달러, 5월 3천989억8천만 달러에 이어 4개월 연속 사상 최대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외환보유액이 4천억 달러 벽을 뚫기도 이번이 처음입니다.

21년 전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할 때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불과 39억 달러였습니다.

이후 꾸준한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이 뒷받침되며 외환보유액은 계속해서 늘었습니다.

1997년 말과 견주면 외환보유액이 100배 이상 늘어난 셈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IMF는 나라별로 경제 규모, 대외부채 등을 고려할 때 적정한 정도의 외환보유액 기준이 있는데 4천억 달러는 IMF가 제시한 적정 수준에 포함돼 있다"며 4천억 달러 돌파에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중국 3조1천106억 달러, 일본 1조2천545억 달러 등에 이어 9위 수준입니다.

질적으로도 안정성이 크게 향상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외환보유액 중 1년 미만 단기외채 비율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말 286.1%에 달했습니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외화 빚이 보유고 안에 들어 있는 돈보다 3배 가까이 많았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말은 74.0%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30.4%로 떨어졌습니다.

민간 부문의 대외자산을 포함한 한국의 순 대외 금융자산은 3월 말 기준으로 2천765억 달러였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 민간 대외자산 증가는 한국 경제 대외 신인도의 기반이 된다"며 "주요 신용평가사들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평가하며 이를 주요 이유로 지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외환시장 개입 내역 공개로 앞으로 외환 당국의 보유외환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정부는 외환정책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이번 달부터 연말까지의 외환시장 개입 내역을 내년 3월쯤 처음으로 공개할 방침입니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정부가 외환시장 개입 공개를 결정한 수준으로는 시장에 부정적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투명성을 확보해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