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해철, '부엉이 모임'에 "친목모임…대선때까지 나름역할"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인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른바 '친문 부엉이 모임'과 관련해 "조직적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친목 모임"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의원은 오늘(3일) 한 인터넷 언론 팟캐스트에서 "몇 년 동안 해왔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가 전당대회를 앞두고 민감하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 의원은 노무현 정부 말기 외곽에서 만들어진 참여정부 평가포럼, 노무현 정부 임기 종료 후 진로를 모색하기 위한 모임, 나아가 문 대통령의 2012년 대선 실패 이후 모임 등이 '부엉이 모임'의 유래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친노·친문 모임이라는 비판에 조직적으로 하지 못했고 이심전심으로 해온 모임"이라며 "지난 대선까지는 나름 역할을 하려 했지만, 이후에는 친목 모임처럼 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부엉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밤에도 있으면서 문 대통령을 지키는 역할을 하자고 해서 부엉이로 했던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어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제안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어느 회원이 제안했는데 너무 많이 아시는 것 같다"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또 '부엉이'란 이름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된 '부엉이바위'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친문 그룹 일각에서 강한 비판이 있는 데 대해 "문제 제기를 듣고 좀 당황스럽기도 했다"면서 "공개 모임도 아니었고 약간 은유적인 뜻도 있다는 취지의 선의"라고 밝혔습니다.

모임 참석자와 관련해 '25명 정도이고, 보도된 인재근·박용진 의원 등은 회원이 아니라는데 맞느냐'는 사회자 질문에 "조직을 갖춘 게 아니므로 회원을 밝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전 의원은 앞으로 활동 방향과 관련해 "얼마 전 문제 제기가 있어 '공개적으로 하고, 필요하면 당과 정치에 필요한 이야기도 하자'고 했었다"며 "전당대회 이후 공개적으로 열린 공간에서 함께 이야기하자고 하는 찰나에 보도가 나와 당황스럽지만 한편으로는 잘 됐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