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 대통령 "한러 FTA 서비스·투자 분야 협상 개시 절차 추진 합의"

문 대통령 "한러 FTA 서비스·투자 분야 협상 개시 절차 추진 합의"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22일) 오후에 있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한·러 FTA(자유무역협정) 서비스·투자분야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 절차를 추진하는 데 합의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국빈방문 이틀째인 문 대통령은 오늘 오전 모스크바 한 호텔에서 열린 '한러 비즈니스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언급한 뒤 "양국의 FTA 추진과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상품 분야까지 확대돼 상호 호혜적이고 포괄적인 FTA가 조속한 시일 내에 체결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저는 유라시아 시대 공동 번영을 위해 우선 양국 수교 30주년이 되는 2020년까지 교역액 300억 달러, 인적교류 100만명 목표를 함께 달성해내자고 제안한다"며 "한·러 FTA는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동안 우리가 쌓아 온 우호와 교류의 기반 위에 양국 경제협력을 한 단계 더 높여나가기를 희망한다"며 "보호무역주의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최근 양국의 교역과 교류가 되살아나고 있다. 작년 양국 교역규모는 190억 달러로 전해보다 무려 40% 증가했고 인적교류도 작년에 역대 최고인 51만명을 기록했지만 이제 시작이며 우리는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역설했습니다.

또 "지금 한국은 역사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고,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며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면 한러 경제협력에도 새로운 장이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9월 동방경제포럼에서 철도·가스·전력 등 9개 분야 협력을 제안한 사실을 상기하며 "남북러 3각 협력이 필요한 분야에서 북한의 참여를 위해 미리 준비하자고 말씀드렸는데 지금이 적기"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제인들이 나서주시면 한국 정부가 적극 돕겠다"며 "공동연구와 사업 타당성 점검에 착수하고, 즉시 추진이 가능한 분야는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발굴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제안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