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장마 시작하면 감전 사고도 증가…"젖은손 전기제품 접촉 안돼요"

장마 시작하면 감전 사고도 증가…"젖은손 전기제품 접촉 안돼요"
행정안전부는 올해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물가와 습기로 인한 감전사고 위험에 주의할 것을 21일 당부했습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재해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감전사고는 장마와 호우가 시작되는 6월부터 늘어나기 시작해 7,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발생한 감전사고 1천673건 중 34%인 575건이 6∼8월에 발생했습니다, 전기 보수 공사 중 발생한 감전사고가 711건으로 가장 많았고, 장난과 놀이로 인한 사고가 156건, 농·어업 활동 중 사고 22건, 보행 중 사고 16건 등으로 분석됐습니다.

감전 형태는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에 직접 몸이 닿으며 발생하는 사고가 60%(1천6건)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아크 발생(전기 합선과 유사한 현상으로 생성된 불꽃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으로 인한 사고가 28%(468건), 누전 9%(143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젖은 손으로 전기제품을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누전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합니다.

전기설비를 정비하거나 고칠 때는 전원을 철저히 차단해야 합니다.

농업용 양수기를 작동할 때는 반드시 마른 손에 절연장갑을 착용해야 하고 야외에 노출된 양수기는 비에 젖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비가 오는 날에는 거리 가로등이나 신호등, 에어컨 실외기 등 전기 시설물과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김석진 행안부 안전정책실장은 "물기와 습기가 많은 여름철 젖은 손으로 전기용품을 만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면서 "특히 어린이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평소 감전의 위험성을 설명하고 전선이나 전기제품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