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체국, 소포 요금 기준 23년 만에 개편…저중량·타 지역 요금↓

우체국, 소포 요금 기준 23년 만에 개편…저중량·타 지역 요금↓
우체국이 다음달부터 소포요금 체계를 세분화해 이용량이 많은 저중량, 타지역 소포 요금을 낮추기로 했습니다.

대신 고중량, 동일지역 소포의 요금은 높아집니다.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다음달 1일부터 국내 소포의 우편요금 기준을 종전 5가지에서 9가지로 세분화합니다.

현재 2㎏, 5㎏, 10㎏, 20㎏, 30㎏ 이하에서 2㎏ 이하가 빠지는 대신 1㎏, 3㎏, 7㎏, 15㎏, 25㎏ 이하 요금이 추가됐습니다.

우체국이 소포 우편요금 기준을 변경하는 것은 1995년 이후 23년 만에 처음입니다.

또, 2001년 도입한 동일지역과 타지역간 요금 차이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제주지역은 별도 요금 체계가 유지됩니다.

동일지역 소포도 상대적으로 비싼 타지역 요금 체계를 적용받습니다.

일반소포(D+3일 배달) 요금 역시 저중량, 타지역은 대체로 낮아지지만 고중량, 동일지역은 인상 효과가 생깁니다.

비중이 극히 미미한 방문접수는 요금 기준을 유지하는 대신 지역 구분을 없애 타지역 기준으로 통일합니다.

우체국 관계자는 "다수 고객에게 혜택이 가도록 소포 중 92%를 차지하는 15㎏ 이하와 60% 수준인 타지역 소포의 가격을 낮춘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수익성을 고려해 원가 부담이 큰 단거리, 고중량 소포의 요금은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개편에 따른 소포 요금 인하 효과는 2016년 물량 기준으로 12억원으로 추정됩니다.

우체국은 소포 보편요금을 인하하는 대신 사업부서 프로세스 개선과 경영혁신을 통해 우편사업 적자를 줄인다는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