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년 보수' 미륵사지 석탑 공개…"석조문화재 수리 선도적 사례"

'20년 보수' 미륵사지 석탑 공개…"석조문화재 수리 선도적 사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석탑인 전북 익산 미륵사지 서쪽 석탑(국보 제11호)이 20년에 걸친 수리 작업을 마무리하고 마침내 새로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석탑 유산 중 하나인 미륵사지 석탑은 1998년 구조안전진단 결과 문제점이 드러나, 이듬해 문화재위원회에서 해체·수리를 결정했습니다.

해체 보수를 맡은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오늘(20일) 미륵사지 석탑 해체·보수 현장에서 설명회를 열고 최근 수리를 마친 석탑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미륵사지 석탑은 향가 '서동요' 주인공이자 백제 후기에 중흥기를 이끈 무왕(재위 600∼641) 시대에 지은 백제 건축물입니다.

목탑처럼 석재 2천800여 개를 짜 맞춘 형태로 석탑 양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유산입니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그 본래 모습을 유지했지만, 당시 벼락을 맞아 상당 부분 훼손된 상태로 있다가 일제강점기인 1915년, 조선총독부에서 시멘트를 땜질을 해서 응급 보수한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실제 해체 보수는 2001년 10월 고유제를 개최함으로써 시작됐습니다.

연구소는 석탑의 본격적인 해체조사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학술·기술 조사연구, 구조보강, 보존처리 등을 시행했습니다.

원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해 석탑을 보수했습니다.

어떤 상태로 보수 복원할 것인가를 두고 치열한 논란이 벌어졌지만, 6층까지 세우는 것으로 결론 났습니다.

연구소는 다음 달 말 석탑 외부에 설치한 덧집 철거와 주변 정비를 시작해 12월에는 일반에 공개할 방침입니다.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는 단일문화재로는 최장기간 체계적인 수리가 진행된 사례로 꼽힙니다.

해체에만 꼬박 10년이 걸렸습니다.

연구소는 "국제 기준에 따라 학술조사와 해체·수리 과정을 충실히 이행했다는 점에서 석조문화재 수리의 선도적 사례"라고 밝혔습니다.

2009년 1월 석탑 해체조사 과정 중 1층 내부의 첫 돌기둥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면서 석탑 건립 시기(639년), 미륵사 창건의 배경 등이 밝혀졌습니다.

연구소는 그동안 작업 과정과 결과를 담은 보고서 발간, 기술교육, 학술행사 등을 통해 성과를 계속 공유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