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유엔인권이사회 탈퇴키로…유네스코 이어 유엔기구서 또 발빼

미국이 유엔인권이사회(UNHRC)에서 탈퇴하기로 했다고 19일(현지시간) AP와 로이터 등 외신들이 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과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이날 탈퇴 결정을 함께 발표할 예정이라고 외신은 전했습니다.

탈퇴가 공식화하면 이는 트럼프 정부 들어 유엔 기구에서 미국이 탈퇴하는 두 번째 사례가 됩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가 반(反)이스라엘 성향을 보인다는 이유로 탈퇴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미국 우선(America First)'의 기치 아래 지난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세계기후변화협정(파리협정)을 탈퇴하고, 올해 들어 이란핵합의(JCPOA)를 탈퇴하는 등 주요 국제협정에서도 발을 빼 왔습니다.

이번 인권이사회 탈퇴도 유네스코 때와 같은 이유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은 오랫동안 인권이사회가 이스라엘에 대한 편견과 반감을 보여왔다고 비판해왔습니다.

특히 헤일리 대사는 지난해 미국 유엔대사로는 처음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인권이사회 본부를 찾아 회원국들이 이스라엘에 편파적이라고 비판하면서 "계속 참여할지 고려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미국은 또 중국, 베네수엘라, 쿠바, 부룬디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인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며 불만을 표출해왔습니다.

미국은 이사회 회원국의 빈자리를 채우고, 인권침해 국가는 이사회에서 제명하는 내용의 개혁안을 제출하고 동의를 요구했으나 공개적인 호응을 받지 못해왔습니다.

미국의 탈퇴 시 인권이사회 회원국 지위를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됩니다.

7년 전에는 리비아가 회원국 지위를 잃었지만, 이는 인권 문제 등으로 인해 강제로 쫓겨난 것이었습니다.

미국이 탈퇴하게 되면 인권이사회는 지난 2006년 출범 상황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사회 출범 당시 참여를 거부한 조지 W.부시 행정부의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인 존 볼턴이었습니다.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인 지난 2009년 인권이사회에 합류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