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와대, '을지연습 중단 가능한가' 질문에 "열어두고 있다"

청와대, '을지연습 중단 가능한가' 질문에 "열어두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 기류에 따라 한미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중단이 결정된 가운데, 청와대가 한국 정부 차원의 군사지원 훈련인 을지연습을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정부 차원의 을지연습 중단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 대변인은 다만 "(중단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고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몇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며 "UFG처럼 중단·유예(suspend)하는 방식이 있고, 또 예전처럼 하는 방법도 있다. 세 번째로는 상황에 맞게 성격을 좀 변화시켜서 하는 방법도 있다. 이 중에 결정되지 않을까 싶다"라고 말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UFG 연습 중단에 북한도 상응하는 조처를 할 것으로 보나'라는 질문에는 "상응하는 조처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대화가 계속되고 비핵화의 실천적 모습이 지속되는 한 (북한의 반응도) 맞물려서 돌아가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은 지금까지도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등 비핵화 의지를 실천적이고 선제로 보여준 측면이 있다고 평가한다"며 "문재인 대통령도 얘기했듯, 북한이 비핵화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고 대화가 유지된다는 조건을 달고서 군사연습이 유예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통화한다고도 하던데, 거기서 북한 측의 조처가 나올 수 있나'라는 물음에는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이날 중국을 방문한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북한과 중국의 상황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충분히 소식을 듣고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얘기를 듣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사전에 김 위원장의 방중 정보를 접했나'라는 물음에는 "개인적으로 느끼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정보수집능력이 상당하다고 생각했다. 이 정도로 말씀드리겠다"고 답했습니다.

'이해당사자는 남북미인데, 김 위원장이 중국에 가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남북 사이에도 북미회담에 대한 평가와 이후 전망에 대해 여러 채널로 충분히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김 대변인은 일부 언론에서 지난 14일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국방부가 '천안함 폭침'을 언급하려다 청와대·통일부와 협의를 거쳐 이를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서는 "천안함 폭침은 당초부터 이번 장성급 회담 안건으로 아예 거론되지 않았다"고 부인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담당자는 모든 논의 과정에서 천안함의 '천'자도 나온 적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만 향후 남북관계가 진전되고 군사적 신뢰가 쌓이면 적절한 계기를 통해 협의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 "제가 들은 바로는 (14일 장성급 회담에서) 장사정포 문제와 해안포 등이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여권에서 개각이나 연정과 관련한 건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어떤 건의가 들어왔는지 모른다. 얘기를 듣지 못했다"면서도 "건의가 들어왔을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답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