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군산 주점 화재 3분 만에 출동했는데…왜 인명피해 컸나

입구부터 불 번져 한꺼번에 많은 인원 비상구로 몰려<br>현행법상 스프링클러 설치 대상 아냐, 휘발성 인화물질도 영향

군산 주점 화재 3분 만에 출동했는데…왜 인명피해 컸나
3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전북 군산시 장미동 주점 화재에 대한 소방당국의 중간 대응보고가 발표됐다.

소방당국은 주 출입구에서 난 불로 손님 대부분이 비상구로 몰리면서 사상자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18일 군산소방서에서 발표한 '장미동 주점 화재 피해·대응상황'에 따르면 화재 신고는 전날 오후 9시 54분께 최초 접수됐다.

소방당국은 신고 3분 만인 9시 57분께 현장에 도착,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를 시작했다.

소방대원 등은 주점 비상구가 열린 것을 확인하고 밖으로 빠져나온 손님을 우선 병원으로 옮겼다.

동시에 주점 내부 진화작업도 진행했다.

소방당국은 구조 인력과 진화 인력을 나눠 화재 신고 20분 만인 10시 12분께 주점 안에 있던 33명을 병원으로 옮겼고, 이로부터 6분 뒤에는 불길을 잡았다.

구조 인력은 이후 주점 내부를 5차례 수색했으나 추가 사상자는 발견하지 못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이 사상자를 집계한 결과, 사망 3명에 부상자 30명 등 모두 33명의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당국은 방화 용의자 이모(55)씨가 도로와 연결된 주 출입구에 불을 질러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다고 밝혔다.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주 출입구를 피해 좁은 복도와 연결된 비상구로 빠져나오려다 연기를 들이마셔 의식을 잃었다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사상자 절반 이상은 비상구 주변에서 쓰러진 채 발견됐다.

여기에 불이 난 주점 건물 면적이 238㎡에 불과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것도 인명피해를 키웠다.

소방시설법상 주점과 같은 위락시설은 1천㎡ 면적 이상일 때 스프링클러를 의무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불이 난 주점에는 소화기 3대와 피난 유도등 등 기본적인 소방시설만 갖춰져 조기 진화에 이르지 못했다.

이씨가 방화에 사용한 휘발성 인화물질도 인명피해를 부추겼다.

휘발유로 추정되는 인화물질이 연소하면서 좁은 주점 안을 순식간에 유독 가스로 채워 비상구를 채 빠져나가지 못한 손님들이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소방서 관계자는 "구조대가 도착했을 때 비상구는 개방된 상태였으나 주 출입구 화염으로 손님들이 일시에 몰려 병목현상이 일어났다"며 "많은 사람이 동시에 대피하려다 유독 가스를 들이마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감식을 통해 인명피해 발생 경위 등을 추가로 조사할 방침이다.

(연합뉴스/사진=전북소방본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