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기마인물형 토기 나온 금령총 94년 만에 재발굴

기마인물형 토기 나온 금령총 94년 만에 재발굴
일본인 우메하라 스에지가 1924년 조사해 기마인물형 토기와 금관을 찾아낸 신라 고분 금령총이 94년 만에 다시 발굴됩니다.

13일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에 따르면 문화재위원회 매장분과는 최근 회의에서 국립경주박물관이 신청한 경주 대릉원 일원(사적 제512호) 내 금령총 발굴 안건을 심의해 조건부 가결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15년부터 일제가 급하게 발굴한 신라 고분을 재발굴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은 앞서 금관총을 조사해 '이사지왕도'(爾斯智王刀)라는 글자를 새긴 칼집을 발견했고, 서봉총 북분과 남분의 정확한 크기와 조성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이번에 조사하는 금령총은 6세기 초반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입니다.

부장품 가운데 특이한 금제 방울이 있어 '금령총'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금령총에서는 금관총, 서봉총과 마찬가지로 금관(보물 제338호)이 나왔고, 금제 허리띠와 장신구, 유리 용기, 칠기류, 마구, 토기도 출토됐습니다.

특히 무덤 주인공 머리맡에서 발견된 기마인물형 토기(국보 제91호)는 신라 토기 가운데 백미로 꼽힙니다.

배모양 토기와 함께 나온 기마인물형 토기는 모두 두 점으로, 주인상은 높이가 23.4㎝이고, 하인상 높이는 21.3㎝입니다.

이 유물은 신라인의 죽음에 관한 관념은 물론 당시 복식, 무기, 마구, 공예를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금령총 금관(사진=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금령총 금관은 높이 27㎝·지름 15㎝로, 옥 장식이 없고, 신라 금관 가운데 가장 작고 장식이 단순한 편입니다.

학계에서는 금관과 각종 꾸미개의 크기가 작은 점으로 미뤄 금령총이 왕자 무덤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금령총은 일제강점기 발굴 당시에도 봉분이 파손돼 남북 길이 13m, 높이 3m인 반달형이었는데,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정확한 고분 규모가 드러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물관은 아울러 무덤 주변 부가시설, 다른 고분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보존과 복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