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40분 담판→화기애애한 오찬→역사적 서명…숨 가쁜 반나절

140분 담판→화기애애한 오찬→역사적 서명…숨 가쁜 반나절
세계의 눈이 쏠린 북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오늘(12일) 공동성명에 서명하는 역사적인 장면을 연출하기까지 짧지만 빡빡한 반나절을 함께 했습니다.

한국전쟁 정전 후 70년 가까이 적대관계를 이어온 양국 정상의 만남이라기에는 아쉬움이 남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두 정상은 압축적으로 다양한 일정을 소화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오전 8시(현지시간, 한국시간 오전 9시) 숙소인 시내 샹그릴라 호텔을 떠나 정상회담이 열리는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로 향했습니다.

잠시 뒤인 오전 8시 12분 김 위원장도 하룻밤을 머문 세인트 리지스 호텔에서 무장한 경호차량 20여대의 호위를 받으며 회담장으로 출발했습니다.

양 정상의 숙소는 불과 570㎞ 거리여서 앞서 출발한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회담장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김 위원장 일행이 숙소 출발 후 약 20분이 지난 오전 8시 30분 카펠라 호텔에 도착했습니다.

차 안에서 대기하던 김 위원장은 오전 8시 53분쯤 통이 넓은 검은색 바지에 검정색 인민복 차림으로 왼쪽 겨드랑이에는 서류가방을, 오른손에는 갈색 뿔테안경을 들고 차에서 내려 호텔로 들어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용차는 회담 직전인 오전 8시 59분 회담장 앞에 도착했고 빨간 넥타이를 맨 트럼프 대통령은 다소 상기된 표정으로 차에서 내려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회담장 입구 레드카펫에서 비로소 한 자리에 선 양국 정상은 미소를 머금고 걸어 나와 12초간 악수를 하며 가벼운 담소를 주고받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어깨를 가볍게 치는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성조기와 인공기를 배경으로 기념 촬영을 마쳤고 이후 단독 회담장으로 향했습니다.

회담장에 들어서기 전 두 정상은 다시 손을 맞잡았고 이어진 모두 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회담이 엄청나게 성공할 것"이라고, 김 위원장은 "모든 것을 이겨내고 이 자리까지 왔다"고 말했습니다.

배석자 없이 통역만 대동하고 이뤄진 단독 정상회담은 오전 9시 16분부터 9시 52분까지 약 36분간 진행됐습니다.

이후 단독회담을 마친 두 정상은 2층 옥외 통로를 따라 확대정상회담 장소로 함께 이동했는데 잠시 발코니 앞에서 담소를 나누며 손을 흔드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히기도 했습니다.

두 정상은 곧이어 배석자들이 함께하는 확대정상회담에 들어갔습니다.

회담에는 미국 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존 켈리 비서실장이, 북한 측에서는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리수용 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국제부장,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습니다.

100여분간 진행된 확대정상회담은 오전 11시 34분 끝났습니다.

이어진 업무 오찬에는 미국 측에서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 의제 실무회담 미국 측 대표 성 김 주필리핀 미국 대사, 매슈 포틴저 NSC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이 합류했습니다.

북측에서는 노광철 인민무력상, 최선희 외무성 부상,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한광상 당 중앙위원회 부장이 오찬장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백악관에 따르면 오찬 메뉴에 햄버거는 포함되지 않아 기대를 모았던 양국 정상의 '햄버거 대좌'는 불발됐습니다.

하지만 정상회담의 의미를 살려 미국과 북한, 싱가포르 현지 음식이 어우러졌습니다.

단독·확대정상회담과 50여분간의 오찬까지 함께한 두 정상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오찬장을 나섰고 통역 없이 잠시 건물 밖으로 나와 카펠라 호텔 정원을 1분여 동안 산책했습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에 "(공동성명에) 서명하러 이동 중"이라며 "정말 환상적인 회담"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어 두 정상은 다시 서명 장소로 이동했습니다.

이후 오늘 오후 1시 39분 서명식장의 육중한 문을 열고 함께 나란히 걸어 나온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대형 원목 테이블 앞에 앉았고 이어 각자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김여정 제1부부장이 건네는 공동성명 서류를 받아들고 서명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우리는 중요한 문서에 서명한다"라고, 김 위원장은 "세상은 아마 중대한 변화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고는 양국 정상은 오후 1시 43분 자리에서 일어나 좌중의 박수 속에 세계가 기다려온 북미 정상의 공동성명을 교환하고 악수를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서명식이 시작된 지 6분여 만인 오후 1시 45분 자리에서 일어나 재차 악수를 하고 환하게 웃으며 서명식장을 나섰습니다.

공식적인 회담 일정을 마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오후 4시 기자회견을 하고 오후 7시(한국시간 오후 8시) 파야 레바르 공군기지에서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은 전했습니다.

김 위원장도 오늘 출국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위원장이 이용했던 중국 고위급 전용기 2대도 오늘 오후 베이징에서 이륙해 싱가포르에 오후 6∼7시 도착할 것으로 예상돼 김 위원장도 오늘 저녁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관측됩니다.

(사진=스트레이츠타임스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