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주열 "금리인상 신중 판단…경기 변동 대응력 높여둘 필요도"

이주열 "금리인상 신중 판단…경기 변동 대응력 높여둘 필요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하반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시기에 관해서는 뚜렷한 신호를 주지 않았습니다.

이주열 총재는 한은 창립 68주년 기념식에 앞서 배포한 기념사에서 "성장과 물가 흐름,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 추가 조정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수요 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아직 크지 않으므로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이와 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이 과정에 금융불균형이 커질 수 있는 점과 긴 안목에서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용여력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금리가 너무 낮으면 금융위기와 같이 어려운 상황에 닥쳤을 때 금리인하 처방을 내리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 나온 메시지가 종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금융시장에서 7월 인상 기대감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은은 미 금리인상에 따른 영향 등을 살펴가며 움직이되 속도를 높이지는 않으려는 분위기로 보입니다.

이 총재는 1년 전에는 기념사를 통해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이와 함께 이 총재는 올해 하반기 금융안정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면서 신흥국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는 대외건전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금융불안이 전이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그러나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해외 리스크 요인들이 함께 현재화될 경우 파급효과 향방을 정확히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 총재는 또 "고용 부진과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지만 앞으로도 4월에 본 전망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음 달 경제 전망 수정 시에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예상한 3%에서 크게 바꾸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는 "고용부진은 일부 업종 업황개선 지연 이외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같은 구조적 요인에도 기인하고 있다"며 "자본 및 기술집약적 산업 등 특정부문에 크게 의존하는 성장은 외부 충격시 우리 경제 복원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총재는 경제 구조개혁 필요성에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는 "경제가 성장세를 보일 때 구조개혁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한다"며 "구조적 취약성을 해소하는 노력을 미루면 중장기적으로 훨씬 엄중한 상황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정부는 구조개혁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경제주체 간 갈등을 원활히 조정하고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 총재는 또 하반기에는 내년 이후 적용할 물가안정 목표를 점검하고, 남북관계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북한경제 관련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앙은행에 요구되는 새로운 역할을 미리 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