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용률 극과 극…韓 초고령층은 OECD 1위, 청년은 하위권

한국의 초 고령층 고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 최상위지만 청년은 하위권으로 처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보장이 되지 않은 고령층이 은퇴하지 못하고 청년들이 일할 만한 곳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OECD에 따르면 75세 이상 고용률은 2016년 기준 한국이 18.1%로 OECD 비교 가능한 16개국 중 1위였습니다.

2위인 멕시코보다도 2.8%포인트 높았습니다.

한국과 멕시코를 제외하면 나머지 국가들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한 자릿수에 그쳤습니다.

3위인 일본이 8.7%였고 최하위인 스페인은 0.2%에 그쳤습니다.

프랑스(0.4%), 네덜란드(2.0%), 영국(3.0%), 캐나다(3.5%) 등 주요 선진국은 4% 미만이었습니다.

한국이 75세 이상 고용률 최상위를 차지한 것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닙니다.

2012년부터 5년 연속으로 75세 이상 고용률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령대를 청년으로 낮추면 상황은 반전됩니다.

OECD 청년 기준인 15∼24세 고용률은 2016년 한국이 27.2%로 35개국 가운데 28위였습니다.

OECD 평균인 41.1%보다 13.9%포인트 낮았습니다.

25∼29세를 대상으로 봐도 2016년 한국의 고용률은 69.6%로 29위에 머물렀습니다.

OECD 평균(73.7%)에도 역시 미달했습니다.

고용률 극과 극이 빚어진 것은 고령층은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하고도 계속 일해야 할 정도로 국내 연금 제도가 성숙하지 못해서입니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청년 고용률이 낮은 것은 청년들이 갈만한 일자리가 별로 없다는 것"이라며 "(국내 특수 상황인) 병역 문제를 고려해 15∼29세 청년 고용률을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결과는 비슷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