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김영철 뉴욕방문' 아직 보도 없어…조명록 방미 때와 대조

北, '김영철 뉴욕방문' 아직 보도 없어…조명록 방미 때와 대조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북미정상회담 '담판'을 위한 방미 일정에 돌입했지만, 북한 매체들에서는 그의 방미와 관련한 보도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대외용 조선중앙통신과 대내용 노동신문 등 매체들은 31일 오전 현재까지 김 부위원장의 미국 방문 사실을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29일 낮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뒤 다음날인 30일 오후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서 뉴욕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그는 이어 한국시간으로 31일 오전 3시(뉴욕시간 30일 오후 2시)께 뉴욕 JFK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만찬 회동을 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이 평양에서 출발한 지 이틀이 다 되어가고, 미국에서 실질적인 일정도 시작한 시점이지만 북한 매체들은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북한 매체들의 이런 보도 태도는 지난 2000년 10월 9∼12일 조명록 당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군 총정치국장(인민군 차수)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로서 미국을 찾아 빌 클린턴 당시 대통령을 만났을 때와 대조적이어서 눈길을 끕니다.

조명록 제1부위원장의 방미 당시 노동신문과 대내용 라디오 조선중앙방송 등 북한 매체들은 사전 예고에서부터 평양 출발, 미 워싱턴DC 도착, 클린턴 대통령 면담, 귀국 등 개별 일정을 일일이 비교적 신속하게 보도했습니다.

노동신문 등은 조 제1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하기 무려 8일 전인 10월 1일에 "김정일 동지의 특사가 미국을 방문한다"며 그의 방미 계획을 밝혔습니다.

신문은 당시 예고 보도에서 "특사는 클린턴 대통령을 만나 중요한 담화를 하게 된다"며 클린턴 대통령 예방이 예정된 사실도 공개했습니다.

조명록 방미를 계기로 채택된 북·미 공동 코뮈니케 내용은 10월 12일 오후 5시 조선중앙방송과 대외용 라디오 평양방송, 조선중앙TV가 동시에 보도했으며 13일 노동신문 1면에도 크게 실렸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