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의직장' 금융공기업, 견제풀린 틈타 급여 줄줄이 인상

금융공기업들이 일반 공기업보다 보수를 배 가까이 더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3~2014년 공기업 정상화 방안 이후 정부 견제가 소홀해진 틈을 타 다시 방만 경영으로 돌아서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습니다.

28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www.alio.go.kr)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7개 공공기관의 지난해 직원 1인당 평균 보수는 9천309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금융공기업 직원의 평균 보수가 같은 시점 361개 전체 공공기관(부설기관 포함) 직원의 평균 보수인 6천707만원보다 38.8% 많다는 의미입니다.

금융공기업과 전체 공기업 사이의 보수 격차는 최근 3년간 되레 확대됐습니다.

2014년 기준 7개 금융공기업의 직원 평균 보수는 8천487만원으로 당시 일반공기업 직원의 보수인 6천355만원보다 33.5% 더 많았는데, 3년 사이 격차가 5.3%포인트 더 커졌습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급여인상률을 보면 금융공기업은 9.7%로 일반공기업의 5.5% 대비 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이는 정부의 견제로 보수가 줄어들었던 2014년 이후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금융공기업의 방만 경영이 사회 문제화되자 당시 정부는 금융공기업에 대한 경영평가에 더 엄정한 잣대를 들이댔고, 그 결과 2014년 금융공기업의 1인당 평균보수는 2014년 8천487만원으로 2013년의 8천508만원보다 줄었습니다.

금융공기업의 보수가 줄어든 것은 정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처음이었습니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전체 공기업은 5천845만원에서 6천355만원으로 늘었습니다.

결국 정부 견제로 2014년에 일회성으로 보수를 줄인 이후 다시 급여 인상률을 높게 적용하면서 전체 공기업과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입니다.

지난해에도 이런 분위기는 이어졌습니다.

7개 금융공기업의 1인당 보수 인상률은 2.3%로 전체 공기업의 1.5%를 상회했습니다.

특히 산업은행은 1인당 평균 보수 인상률을 6.1%로 적용하면서 1인당 평균 급여 1억원 시대(1억178만원)를 열었습니다.

기업은행도 평균 보수를 5.0% 인상해 평균 급여가 1억원에 육박(9천886만원)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의 평균급여는 1억961만원으로 전체 공공기관 중 2위입니다.

7개 금융공기업의 지난해 신입사원 초임은 4천376만원을 기록, 전체 공기업 평균인 3천453만원 대비 923만원 많았습니다.

금융위 산하 공기업은 신용보증기금과 예금보험공사, 중소기업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7개사다.

2016년에 서민금융진흥원이 신설되면서 현재는 8개사로 늘어났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