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매출 600대 기업 여성직원 비율 24%…5년간 0.8%p 상승

국내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의 직원 100명 중 24명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5년간 대부분 업종에서 여성 직원 비율이 높아졌으나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여전히 낮았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매출액 600대 상장기업 중 522곳의 지난해 남녀 직원 비율을 분석한 결과, 여성이 총 23.7%를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2013년 대비 0.8%포인트 상승한 것입니다.

총 여성 직원 수는 2013년 25만3천 명에서 2017년 26만8천명으로 1만5천명 늘었습니다.

여성 직원의 증가분은 이 기간 전체 직원 증가분의 절반 이상입니다.

업종별로 보면 총 11개 업종 중 10개 업종에서 최근 5년간 여성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의 여성 비율 증가 폭이 2.5%포인트로 가장 컸고 농림어업은 유일하게 여성 비율이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업종은 57.6$%인 도소매업이었고, 건설업은 9.5%로 가장 낮았습니다.

여성 직원 비율이 가장 높은 상장기업은 83.5%를 차지한 효성ITX였고 웅진씽크빅과 케이티씨에스, 케이티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뒤를 이었습니다.

2013년 대비 여성 직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5천772명인 GS리테일이었고 효성ITX와 아모레퍼시픽, 동원F&B, CJ프레시웨이가 뒤를 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여성 고용률과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OECD 중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약 20년 동안 한국의 15∼64세 여성 고용률은 4.6%p 올라 OECD 평균 상승치 8.4%p를 밑돌았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여성 고용률 순위는 33개국 중 23위에서 27위로 하락했습니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도 한국보다 OECD 평균이 빠르게 상승하며 순위가 29위로 6단계 내려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