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이란 제재 가속…'예멘 반군 지원' 등 이란인 5명 제재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미국의 이란 핵 합의 탈퇴 이후 새로운 합의 체결을 요구하며 이란에 대한 경고를 내놓은지 하루 만에 미국이 다시 이란 제재에 나섰다.

22일(현지시간) AP 통신을 비롯한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이날 이란 혁명수비대와 연계된 이란인 5명을 제재했다.

미국의 제재를 받으면 미국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 기업들과 거래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들 가운데 4명은 예멘 반군 후티를 지원한 혐의다.

이들은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시아파 반군 후티의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미사일 공격과 관련해 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를 통해 기술적 지원 등을 제공한 혐의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1명은 이란 혁명수비대에 자금을 지원한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지난 8일 이란 핵 합의 탈퇴를 선언한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이란에 대해 우라늄 농축 중단 등 한층 까다로워진 12개 요구사항을 담은 새로운 합의를 체결할 것을 요구하며 "이란을 협상 테이블에 끌어내기 위해 전례 없는 금융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12개 요구사항 가운데 우라늄 농축 중단, 플루토늄 사전처리 금지, 모든 핵시설 완전 접근 허용, 기존 핵무기 제조활동 신고와 함께 시리아에서의 철군,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 중단, 예멘·레바논 반군 지원 중단 등을 요구했다.

미국은 이란 핵 합의 탈퇴 이후 대 이란 및 헤즈볼라 제재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미국은 지난 10일 이란 혁명수비대가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환전 네트워크와 연계된 기관 3곳과 개인 6명을, 15일에는 이란 중앙은행의 발리올라 세이프 총재와 알리 타잘리 국제국 부국장을 제재 명단에 각각 올렸다.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로 구성된 '테러리스트자금추적센터'(TFTC)는 16일 지역 평화에 위협을 가했다는 이유로 친(親)이란 무장 정파인 헤즈볼라 서열 1, 2위인 하산 나스랄라 최고지도자와 나임 카셈 부총재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또 17일에는 헤즈볼라의 자금 담당자이자 이란 담당 대표인 압달라 사피 알-딘을 비롯해 벨기에, 감비아, 레바논 등에 기반을 둔 5개 기업을 제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