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셜벤처·국토교통 활성화로 4년 안에 일자리 11만 개 만든다

소셜벤처·국토교통 활성화로 4년 안에 일자리 11만 개 만든다
정부가 혁신적 사업 모델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소셜벤처'를 활성화해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 나섭니다.

고용 규모가 큰 국토·교통 부문에서도 창업을 지원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해 양질의 일자리를 대량 창출하기로 했습니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6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6차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민간 분야 일자리 창출 대책'을 심의·의결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의결한 안건은 ▲ 소셜벤처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혁신창업 붐 조성 방안 ▲ 국토·교통 일자리 로드맵 ▲ 뿌리산업 일자리 생태계 조성 방안 등 4가지입니다.

일자리위원회는 우선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인 소셜벤처를 지원함으로써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습니다.

소셜벤처는 돌봄·주거·일자리 등에 관심을 갖고 창의성과 기술을 토대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입니다.

이를 위해 연간 100곳에 달하는 우수 소셜벤처에 최대 1억원씩 지원하고 소셜벤처에 투자하는 1천200억원 규모의 '소셜 임팩트 투자 펀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소셜벤처들이 입주한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를 '소셜벤처 밸리'로 육성하고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벌 소셜벤처 허브도 구축합니다.

혁신창업 붐을 일으키기 위해 글로벌 창업경진대회 등을 통해 국민 참여를 끌어내고 기업 가치 10억달러(약 1조1천억원)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인 '유니콘' 기업을 육성합니다.

건설, 운수, 부동산 등 일자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토·교통 부문에서는 도시, 주택, 산업단지 등 기존 인프라를 토대로 창업 공간을 마련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해 양질의 일자리를 대량 창출합니다.

주조, 금형, 용접 등 제조업 근간을 이루는 기반산업인 '뿌리산업'에서도 글로벌 중견기업을 육성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합니다.

일자리위원회는 이번에 의결한 대책을 통해 문재인 정부 임기가 끝나는 2022년까지 11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