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브렌트유, 80달러 돌파 초읽기…3년 반 만에 최고

국제유가가 강세를 이어가면서 장중 한때 배럴당 80달러 선을 위협하며 3년 반 만의 최고 수준을 찍었습니다.

브렌트유 7월 인도분은 15일(현지시간)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장중 한때 배럴당 79.47달러까지 올랐다가 78.43달러 선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16일 오전 9시 40분 현재 시간외 거래에서는 78.09달러로 약간 하락했지만, 이번 주 내내 배럴당 78달러 선은 지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CNBC방송은 브렌트유의 현 가격이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감산 합의에 실패했던 2014년 11월 27일 이전에나 볼 수 있었던 수준을 확고하게 지키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당시 OPEC는 국제유가가 연중 최고점에서 30%나 미끄러지는 급락세를 겪으며 감산 압박을 받았지만 결국 생산량 유지를 결정했습니다.

OPEC과 맏형 격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유가가 낮게 유지되면 미국의 셰일 생산에도 압박이 될 것이라고 계산기를 두드렸지만, 결과적으로는 유가는 2016년 1월 배럴당 30달러 선을 하향 돌파할 만큼 급락 일로를 걸었습니다.

이후 OPEC과 러시아가 하루 180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했고 세계 수요가 탄탄하게 유지되는 데 더해 산유국 베네수엘라의 경제 위기, 최근 미국의 이란 핵 합의 파기까지 이어지면서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빠른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 10일 3년 5개월여 만의 고점을 찍은 이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5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WTI는 전날보다 0.5%(0.35달러) 오른 71.31달러에 거래를 마쳐 지난 10일의 고점에 0.05달러 못 미쳤습니다.

이날 유가는 미국의 이란 핵 합의 탈퇴에 따른 불안 심리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중국의 지난달 투자와 소매판매, 주택판매 등이 기대치보다 낮게 나와 중국의 높은 정유 수요가 생각보다 일찍 끝날 수도 있다는 우려에 상승 폭이 제한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이 수준은 앞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에너지 헤지펀드 어겐캐피털의 창립 파트너인 존 킬더프는 CNBC에 "지금으로선 유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아마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에 원유를 더 풀도록 사우디아라비아를 압박할 때까지는 사우디가 쉽게 유가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OPEC이 WTI 가격을 현재의 70∼72달러 선에서 80∼85달러 선까지는 올리려 할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