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산 쌀로 중동·아프리카 지원…쌀 2만 2천t 군산항 출항

올해 우리 쌀 5만t이 유엔 산하 국제기구인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중동과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 지원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오전 전북 군산항 부두 선착장에서 올해 개도국 지원 예정인 쌀 5만t 가운데 첫 물량인 2만 2천t 출항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우리나라는 올해 1월 식량원조협약(FAC)에 가입했고, 이에 따라 WFP를 통해 우리 쌀 5만t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쌀은 기아 인구가 많은 예멘(1만 7천t), 에티오피아(1만 5천t), 케냐(1만 3천t), 우간다(5천t)에 전해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첫 출항에서 보내는 쌀 2만2천t은 다음 달 예멘 아덴 항구에 1만2천t, 에티오피아 지부티 항구에 1만t이 각각 보내집니다.

이 쌀은 2016년에 생산돼 정부가 보관하던 것인데, 정부는 장마철 이전에 쌀을 보내기 위해 가공과 국내 운송 같은 절차를 밟아왔습니다.

국내 가공과 선적은 우리 정부 농식품부가, 해상운송과 현지 배분은 WFP가 각각 맡고, 원조 이후 배분 현황과 현지 반응은 두 기관이 함께 합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지원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쌀로 해외 기아 인구를 돕고, 이들 나라와 교류협력의 기틀을 다지게 됐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원조 규모는 FAC 16개 회원국 가운데 미국과 EU 등에 이어 6위 규모입니다.

우리나라가 해외에 쌀을 원조한 것은 지난해 한국·중국·일본 및 아세안의 비상 쌀 비축기구인 애프터(ASEAN+3 Emergency Rice Reserve·APTERR)를 통해 국산 쌀 750t을 캄보디아·미얀마 등에 제공한 것이 처음입니다.

다만 당시에는 원조 물량이 소규모였고, 대량으로 쌀 원조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농식품부는 설명했습니다.

쌀 해외 원조는 지난해 정부가 보관하는 양만 186만t에 달하는 등 재고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국내 수급 관리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은 "FAC와 애프터를 쌀 현물원조의 양대 축으로 삼아 쌀 원조 체계를 다져나가겠다"며 "우리 농업인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의 빈곤하고 소외된 계층에 희망을 심어주는 든든한 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