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약시장 '돈되는 곳'만 몰렸다…올해 분양 44% 청약 미달

최근 정부의 재건축 등 규제로 주택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 인기 지역의 청약 열기는 후끈하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싸고 입지여건이 좋은 곳에만 청약자들이 몰리고, 공급물량이 많은 곳에서 분양된 아파트 단지에는 청약 미달이 속출하는 등 청약시장 내부에서도 양극화가 심화하는 분위기입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 현재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민영아파트는 총 128개 단지로, 이 가운데 1순위에서 청약이 마감된 단지는 41.4%인 53곳으로 집계됐습니다.

2순위에서 마감된 곳은 18개 단지 14.1%였으며, 44.5%인 57개 단지는 2순위에서도 모집가구 수를 채우지 모해 청약이 최종 미달했습니다.

이달 3일 1순위 청약을 받은 경기도 하남 감일지구의 '하남 포웰시티'는 1순위 청약에서 2천96가구 일반분양에 총 5만5천110명의 1순위 통장이 몰리며 평균 26.3대 1의 경쟁률로 마감됐습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주변 시세보다 싸다는 입소문이 퍼지며 청약자들이 대거 몰린 것입니다.

반면 주택공급이 많았거나 입지여건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곳은 수도권이라도 청약 미달이 줄을 이었습니다.

연초 경기 김포시에서 분양된 김포 한강 금호어울림 2단지와 동일스위트, 남양주 별내지구 우미린 2차 등이 청약 마감에 실패했습니다.

전체 청약 경쟁률은 지난해보다 높아졌습니다.

부동산114 집계에 따르면 올해 5월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총 4만7천994가구가 분양된 가운데 총 65만479건의 청약이 접수돼 평균 13.6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전용면적 85㎡ 초과 단지의 경쟁률이 치열해졌는데 가점제 대상 물량이 늘어난 영향이 큽니다.

정부의 8·2 부동산대책으로 지난해 9월 20일 이후 공급되는 투기과열지구 내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100%가, 청약조정지역 내 중소형은 75%가 청약가점제로 공급돼 가점이 낮은 사람은 당첨 확률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에도 가점제가 적용되지만 투기과열지구는 공급물량의 50%, 청약조정지역은 30%만 적용돼 나머지 50, 70%는 가점과 무관한 추첨제로 분양받을 수 있다 보니 가점이 낮은 사람들이 중대형으로 몰리는 것입니다.

양도소득세 중과 등의 다주택자 규제로 '똑똑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중대형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