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51조 원 규모 반도체 펀드 조성"…'클라우드 AI칩'도 공개

"중국, 51조 원 규모 반도체 펀드 조성"…'클라우드 AI칩'도 공개
중국이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3천억 위안, 미 달러화 기준으로 474억 달러(약 51조498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무역갈등 해소를 위해 베이징에서 이틀간에 걸쳐 열린 미·중 협상이 구체적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종료된 가운데 WSJ은 중국 정부 주도의 반도체 육성 펀드 조성이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펀드 조성에는 국유펀드인 중국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가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WSJ은 "중국 정부 관리들이 조만간 새로운 펀드를 발표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펀드 측에서 비공식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투자자들 가운데는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들도 포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들은 미·중 간의 정치적 민감성과 중국의 반도체 발전이 자신들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것을 우려, 펀드 참여 제안을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 2014년에도 중앙 및 지방정부를 배경으로 하는 기업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218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펀드를 조성한 바 있으며, 이 펀드는 지난해 말까지 약 70개 프로젝트에 투자했습니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3월 보고서에서 중국의 2014년 반도체 펀드에 대해 "국가 전략목표를 충족하기 위한 펀드 조성에 중국 정부가 깊게 관여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전직 미 통상관료 출신인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라인시는 "중국의 새 펀드에 대해 미국은 '불공정한 행위'라는 비판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반도체 과잉생산과 이로 인한 가격 인하로 미국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에 대한 압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제조대국을 넘어서 '제조강국'을 목표로 첨단분야 10대 핵심산업 육성 프로젝트인 '중국제조 2025'를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중국제조 2025'는 미국의 지식재산권을 위태롭게 한다면서 적극적으로 견제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이미 중국에 대해 예고한 25%의 고율 관세 부과 대상 500억 달러(약 54조 원) 상당의 1천300개 품목에는 '중국제조 2025'에 포함된 품목이 망라됐습니다.

중국은 또 최근 개발에 성공한 클라우드 인공지능(AI) 칩을 공개하며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국책 연구기관인 중국과학원은 인공지능 분야의 데이터센터와 서버에 적용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용 AI칩 '한우지 MLU100'을 공개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하에서 심층 학습연산 능력을 갖고 영상, 언어, 자연어 처리나 데이터 발굴 등에서 복잡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갖춘 것으로 소개됐습니다.

천톈스 중국과학원 컴퓨팅기술연구소 연구원은 "최신 AI 연산법인 MLUv01 프레임에 맞춰 TSMC 16나노 공법을 채택한 AI칩으로 고성능 모델은 매초 166조4천억 차례의 고정소수점 연산처리 능력을 갖는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