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한반도의 종전 선언 주체로 반드시 포함돼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을 밝혔습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평화협정은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고 종전선언은 전쟁을 끝내고 적대관계를 해소하겠다는 정치적 선언으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문제는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종전선언에 중국이 꼭 주체로 들어가는 것이 필요한지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중국은 이미 우리나라나 미국과 수교를 해 적대적 관계가 해소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평화협정의 경우 남북이나 북미만의 문제가 아니고 중국의 역할이 상당히 크다며 3자 혹은 4자가 추진하겠다는 얘기는 중국의 의향을 물어보겠다는 것으로 중국을 배제하거나 하는 의미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정전협정을 없애는 방식으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두 가지를 내세워 절차를 밟아가려는 것이라며 정전협정을 바로 평화협정으로 바로 대체하기 어려운 만큼 중간 단계로 종전선언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