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3·4번 갱도 사용가능…폐기는 '비핵화 첫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3·4번 갱도 사용가능…폐기는 '비핵화 첫발'
북한이 아직 사용 가능한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고 이를 대외적으로 공개하기로 한 것은 비핵화의 첫걸음을 내딛는 상징적 조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이런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9일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북부 핵시험장' 폐기를 실행할 것이며 한미 전문가와 언론인을 초청해 이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이 2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북부 핵시험장 폐기'를 포함한 결정서를 채택한 데 이어 김 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를 재확인하고 실행 시점과 공개 방침까지 천명한 것입니다.

북한의 이런 태도는 핵실험장 폐기 선언이 그냥 말뿐일 수 있으며, 행동으로 보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요구에 호응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북부 핵시험장은 풍계리 핵실험장을 가리킵니다.

북한이 지난해 9월 3일 핵실험까지 모두 6차례 핵실험을 한 장소로, 북한 핵무력 개발의 상징과 같은 곳입니다.

지하 핵실험은 땅 밑으로 갱도를 파고 그 안에서 하는데 풍계리 핵실험장도 여러 개의 갱도를 갖췄습니다.

한미 정보당국은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에 번호를 붙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북한은 1차 핵실험(2006년 10월 9일)을 1번 갱도에서 했고 2차(2009년 5월 25일), 3차(2013년 2월 12일), 4차(2016년 1월 6일), 5차(2016년 9월 9일), 6차(2017년 9월 3일) 핵실험은 2번 갱도에서 했습니다.

1번 갱도는 1차 핵실험으로 무너져 폐쇄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2번 갱도에 여러 개의 가지 갱도를 뚫어 핵실험을 계속한 것으로 한미 정보당국은 보고 있습니다.

6차 핵실험 이후에는 2번 갱도도 지반이 약해져 붕괴 조짐이 포착됐습니다.

6차 핵실험 직후 잇달아 발생한 여진은 2번 갱도를 포함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붕괴 전망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문제는 풍계리 핵실험장에 1∼2번 외에 다른 갱도도 있다는 점입니다.

이 가운데 3번 갱도는 완성 단계로,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게 한미 정보당국의 분석입니다.

4번 갱도는 북한이 6차 핵실험 이후 굴착한 시설인데 완성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기존 실험 시설보다 더 큰 두 개의 갱도가 더 있고 이는 아주 건재하다"고 밝힌 것은 3∼4번 갱도를 가리키는 언급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도 최근 풍계리 핵실험장의 2개 갱도에서는 여전히 핵실험이 가능하다며 핵실험장을 '완전 가동이 가능한 상태'로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언제든지 추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는 것은 비핵화 의지를 대외적으로 천명하는 상징적 조치가 될 수 있습니다.

핵무력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핵실험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게 필수적인데 이를 중단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를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공개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공개 방식에 따라서는 한미 전문가가 북한의 핵무력 수준을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