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조 회장 일가 '쥐꼬리' 지분으로 대한항공 '좌지우지'

조 회장 일가 '쥐꼬리' 지분으로 대한항공 '좌지우지'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일가가 대한항공 시가총액의 11%에 불과한 지배회사 지분만으로 기업을 좌지우지해오고 있다는 비난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최대주주는 지난해말 기준 지주사인 한진칼로 지분 29.9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조 회장 일가 중에선 조 회장만 대한항공 지분 0.01%를 보유하고 있을 뿐 부인 이명희 일우재단 이사장, 조원태 사장과 현아·현민씨 등 삼남매는 전혀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조 회장 일가는 지배회사인 한진칼 지분을 보유해 대한항공에 영향력을 행사해 왔습니다.

한진칼 지분 구조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조 회장 17.84%, 장녀 현아씨 2.31%, 장남 원태씨 2.34%, 차녀 현민씨 2.30% 등 오너 일가족과 특수관계인이 28.9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조 회장 일가가 보유한 지분은 24.79%에 그칩니다.

조 회장 일가의 한진칼 지분 규모는 전날 기준 시가총액으로 보면 3천600억원 규모에 해당합니다.

대한항공 시총 3조2천484억원의 11.1%에 그칩니다.

이 때문에 조 회장 일가를 제외한 주주들이 적극적으로 주주권을 행사해 기업 가치 회복과 경영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총수일가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회사 가치를 떨어뜨려 다른 주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한항공과 한진칼의 2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주주행사를 통해 물의를 일으킨 오너 일가를 경영진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7일 한 라디오방송에서 "국민연금이 총수일가를 제외하면 대한항공의 2대 주주"라며 "재벌 3세들의 경영 복귀를 반대하거나 최소한 국가 이미지 실추에 대한 책임을 묻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재계 등 일각에선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가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에 나서는 데 대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기관이 적극적으로 주주권 행사를 하면 기업 활동이 위축될 수 있고 특히 국민연금은 정부 등 입김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