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해 버려지는 석회석 폐광지 무릉도원으로 탈바꿈

동해 버려지는 석회석 폐광지 무릉도원으로 탈바꿈
국민관광지인 무릉계곡과 석회석 폐광지인 무릉권역이 강원 동해시 대표적 관광자원으로 탈바꿈한다.

심규언 동해시장은 16일 "올해부터 2027년까지 수려한 자연경관과 석회석 폐광지가 뒤섞여 이색적인 자연경관을 갖춘 무릉권역 150만㎡에 1천972억원을 들여 4개 분야, 20개 사업을 추진해 명실공히 무릉도원 관광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1977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무릉계곡이 있는 무릉권역은 연간 6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동해의 대표적 관광지다.

시는 우선 삼화동 산 110번지 일원 107만㎡에는 1천348억원을 들여 무릉 복합체험 관광지를 조성한다.

이곳에는 단계별로 석회석 폐쇄석장의 이색경관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복구해 정원광장, 글램핌장과 숲 속의 집 등 이색 숙박시설, 무궤도 열차, 짚 와이어, 루지, 스카이 브릿지 등을 조성한다.

또 삼화동 신흥마을과 이기동 일원에는 스토리가 있는 6개 코스 22.9㎞의 동해 소금길을 조성한다.

소금길은 조상들이 동해 북평장터에서 산 소금을 정선 임계장터 등 영서 지역으로 나르기 위해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영동∼영서를 잇던 고갯길이다.

이곳에 53억원을 들여 기존의 단편적인 생태탐방로를 탈피한 명품 길을 만든다.

특히 망상 관광지와 함께 동해의 대표적 관광지인 무릉계곡 16만㎡ 일원도 55억원을 들여 대폭 정비한다.

무릉계곡 순환 산책로 4개 코스를 신설하고 다양한 체험요소를 개발해 체류형 관광지로 만든다.

삼화동 639번지 일원 28만㎡에는 무릉 건강 생명 휴양지를 조성한다.

물놀이 시설인 무릉 5선녀탕 주변에 백두대간의 생명력과 치유력을 경험하는 체험과 건강, 휴양이 결합한 휴양지로 만든다.

시는 이처럼 버려지는 폐광지의 관광 자원화 사업이 마무리되는 2027년에는 연간 100만 명 이상 찾는 관광지가 될 것으로 전망,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달 중 무릉 건강복합체험 관광단지 진입로 지정 및 실시설계 발주를 시작으로 무릉권역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심규언 시장은 "가용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발전과 파급효과가 큰 사업을 시행해 민간투자 여건을 마련하는 등 민간 자본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해안과 내륙을 잇는 종합 관광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